![]() |
판례:[가압류채권] 피보전채권중 전부,일부가 인정되지 않은 가압류채권자에 대한 배당액의 산정기준 배당이의 [대법원 1997.2.28, 선고, 95다22788, 판결] |
[판시사항]
[3] 피보전채권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존재가 인정되지 아니함이 밝혀진 가압류채권자에 대한 배당액의 산정기준
[판결요지]
[3] 가압류의 효력은 가압류채권자의 피보전채권액에 한하여 미치므로, 가압류결정에 피보전채권액으로서 기재된 액이 가압류채권자에 대한 배당액의 산정기준으로 되며, 배당법원이 배당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압류의 경우에 확정되지 아니한 채권의 배당액은 공탁을 하여야 하고, 그 후 가압류채권자의 피보전채권의 존재가 본안의 확정판결 등에 의하여 확정된 때 가압류채권자가 확정판결 등을 제출하면 배당법원은 가압류채권자에게 배당액을 지급하는 것인바, 이 경우 가압류의 피보전권리와 본안의 소송물인 권리는 엄격히 일치함을 요하지 아니하며, 청구기초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한 가압류에 대한 관계에서 본안이라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배당법원은 가압류채권자에 대한 배당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가압류채권자가 가압류의 피보전채권 및 그와 청구기초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채권을 청구채권으로 하는 내용의 채권계산서를 제출하였으나, 피보전채권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존재가 인정되지 아니한 때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가압류결정에 피보전채권액으로 기재된 액의 범위 내에서는 위 피보전채권 중 그 존재가 인정되는 나머지 부분 외에 그와 청구기초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채권도 그 존재가 인정되는 한 이를 포함시켜야 한다(가압류채권자가 공사대금 원금채권에 대하여만 가압류결정을 받은 후 채권계산서 제출시 배당기일까지의 지연손해금채권을 덧붙여 배당요구를 한 경우, 지연손해금채권도 배당액 산정에 포함시킨 사례임).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혼인무효] 중혼자 사망 후 전혼배우자가 잔존중혼당사자를 상대로 중혼취소를 구할 이익 유무
|
[재산분할] 혼인 전 일방의 고유재산을 혼인 후 상대방이 융자채무변제 등으로 유지·협력한 경우
|
[매각허가이의] 이의신청시 재항고인에게 보정을 명하지 않고 보증금미공탁 이유로 각하한 경우
|
'동산집행 > 배당절차/배당이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당이득] 가압류권자로부터 채권양수한자가 배당표확정까지 채권양수사실소명하지 못한 경우 (0) | 2014.05.22 |
---|---|
[부당이득] 배당액전액 지급받기에 부족한 가압류 피보전채권액이 확정돼 추가배당해야 할 경우 (0) | 2014.04.28 |
[배당조정] 피보전채권액이 가압류 청구금액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조정의 기준이 되는 채권액 (0) | 2014.04.28 |
[부당이득] 확정된 배당표로 배당실시 후 배당받지 못한 채권자에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이 있는지 (0) | 2014.04.27 |
[배당조정] 본안판결에서 확정된 가압류 피보전채권액이 가압류청구금액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0) | 2014.04.27 |
[공탁사유] 토지수용법상의 보상금청구권에 대한 압류경합이 있는 경우 수용보상금 공탁의 성격 (0) | 2014.04.25 |
[공탁사유] 채권양도,압류경합 사유로 피공탁자 내지 채권자 불확지취지를 기재않고 공탁한경우 (0) | 2014.04.25 |
[공탁사유] 제3채무자가 채권양도 등과 압류경합 등을 이유로 공탁한 경우, 공탁종류 판단 기준 (0) | 2014.04.24 |
[혼합공탁] 변제공탁사유와 집행공탁사유가 함께 발생한 경우, 채무자의 혼합공탁의 효력 (0) | 2014.04.24 |
[혼합공탁] 공탁금에서 변제 받을 권리자가 배당표의 채권자를 상대로 배당이의 소제기의 가부 (0) | 2014.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