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례:[가압류채권] 피보전채권중 전부,일부가 인정되지 않은 가압류채권자에 대한 배당액의 산정기준

배당이의

[대법원 1997.2.28, 선고, 95다22788, 판결]


 

[판시사항]

[3] 피보전채권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존재가 인정되지 아니함이 밝혀진 가압류채권자에 대한 배당액의 산정기준

 


 

[판결요지]

[3] 가압류의 효력은 가압류채권자의 피보전채권액에 한하여 미치므로, 가압류결정에 피보전채권액으로서 기재된 액이 가압류채권자에 대한 배당액의 산정기준으로 되며, 배당법원이 배당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압류의 경우에 확정되지 아니한 채권의 배당액은 공탁을 하여야 하고, 그 후 가압류채권자의 피보전채권의 존재가 본안의 확정판결 등에 의하여 확정된 때 가압류채권자가 확정판결 등을 제출하면 배당법원은 가압류채권자에게 배당액을 지급하는 것인바, 이 경우 가압류의 피보전권리와 본안의 소송물인 권리는 엄격히 일치함을 요하지 아니하며, 청구기초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한 가압류에 대한 관계에서 본안이라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배당법원은 가압류채권자에 대한 배당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가압류채권자가 가압류의 피보전채권 및 그와 청구기초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채권을 청구채권으로 하는 내용의 채권계산서를 제출하였으나, 피보전채권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존재가 인정되지 아니한 때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가압류결정에 피보전채권액으로 기재된 액의 범위 내에서는 위 피보전채권 중 그 존재가 인정되는 나머지 부분 외에 그와 청구기초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채권도 그 존재가 인정되는 한 이를 포함시켜야 한다(가압류채권자가 공사대금 원금채권에 대하여만 가압류결정을 받은 후 채권계산서 제출시 배당기일까지의 지연손해금채권을 덧붙여 배당요구를 한 경우, 지연손해금채권도 배당액 산정에 포함시킨 사례임).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혼인무효] 중혼자 사망 후 전혼배우자가 잔존중혼당사자를 상대로 중혼취소를 구할 이익 유무
  • ...나. 중혼자의 사망으로 중혼관계가 해소되었다 하여도 전혼의 배우자는 생존하는 중혼 당사자의 일방을 상대로 혼인취소를 구할 수 있음은 민법 제818조, 민사소송법 제27조 제2항 규정에 의하여 명백하다....

[재산분할] 혼인 전 일방의 고유재산을 혼인 후 상대방이 융자채무변제 등으로 유지·협력한 경우
  • ...[1] 아파트가 혼인 전에 취득한 남편의 고유재산이기는 하지만 혼인 후 처가 가사와 육아에 종사하는 한편 피아노 교습을 하여 수입을 얻음으로써 위 아파트에 대한 융자금 채무를 일부 변제하고 혼인생활 중 수입으로 조성한 판시 금액을 시아버지에게 교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남편이 혼인 전 위 아파트 매수와 관련하여 부담한 시아버지에 대한 차용금채무를 일부 변제하게...

[매각허가이의] 이의신청시 재항고인에게 보정을 명하지 않고 보증금미공탁 이유로 각하한 경우
  • ...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사건을 송부받은 제1심법원 판사가 아무런 보정을 명하지 아니한 채 민사집행법 제130조 제3항에서 정한 항고보증금을 공탁하지 아니하였다는 이유로 이의신청을 각하하는 취지로 재항고인의 항고장을 각하한 사안에서, 재항고인에게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민사집행법 제130조 제3항에서 정한 보증금의 공탁을 명하거나 보증금을 공탁하였음을 증명하는 서...

 

'동산집행 > 배당절차/배당이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당이득] 가압류권자로부터 채권양수한자가 배당표확정까지 채권양수사실소명하지 못한 경우  (0) 2014.05.22
[부당이득] 배당액전액 지급받기에 부족한 가압류 피보전채권액이 확정돼 추가배당해야 할 경우  (0) 2014.04.28
[배당조정] 피보전채권액이 가압류 청구금액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조정의 기준이 되는 채권액  (0) 2014.04.28
[부당이득] 확정된 배당표로 배당실시 후 배당받지 못한 채권자에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이 있는지  (0) 2014.04.27
[배당조정] 본안판결에서 확정된 가압류 피보전채권액이 가압류청구금액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0) 2014.04.27
[공탁사유] 토지수용법상의 보상금청구권에 대한 압류경합이 있는 경우 수용보상금 공탁의 성격  (0) 2014.04.25
[공탁사유] 채권양도,압류경합 사유로 피공탁자 내지 채권자 불확지취지를 기재않고 공탁한경우  (0) 2014.04.25
[공탁사유] 제3채무자가 채권양도 등과 압류경합 등을 이유로 공탁한 경우, 공탁종류 판단 기준  (0) 2014.04.24
[혼합공탁] 변제공탁사유와 집행공탁사유가 함께 발생한 경우, 채무자의 혼합공탁의 효력  (0) 2014.04.24
[혼합공탁] 공탁금에서 변제 받을 권리자가 배당표의 채권자를 상대로 배당이의 소제기의 가부  (0) 201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