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부양의무] 배우자 사망 후 상대방이 재혼하지 않은 경우 배우자 부모 등과 상대방사이 부양의무 부양금 [대법원 2013.8.30, 자, 2013스96, 결정] |
[판시사항]
[2] 부부 일방의 부모 등 그 직계혈족과 상대방 사이에 직계혈족이 사망하고 생존한 상대방이 재혼하지 않은 경우에 부양의무가 인정되는 경우
[이유]
그리고 민법 제775조 제2항에 의하면 부부의 일방이 사망한 경우에 혼인으로 인하여 발생한 그 직계혈족과 생존한 상대방 사이의 인척관계는 일단 그대로 유지되다가 상대방이 재혼한 때에 비로소 종료하게 되어 있으므로 부부의 일방이 사망하여도 그 부모 등 직계혈족과 생존한 상대방 사이의 친족관계는 그대로 유지되나, 그들 사이의 관계는 민법 제974조 제1호의 ‘직계혈족 및 그 배우자 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배우자관계는 혼인의 성립에 의하여 발생하여 당사자 일방의 사망, 혼인의 무효·취소, 이혼으로 인하여 소멸하는 것이므로, 그 부모의 직계혈족인 부부 일방이 사망함으로써 그와 생존한 상대방 사이의 배우자관계가 소멸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부 일방의 부모 등 그 직계혈족과 상대방 사이에서는, 직계혈족이 생존해 있다면 민법 제974조 제1호에 의하여 생계를 같이 하는지와 관계없이 부양의무가 인정되지만, 직계혈족이 사망하면 생존한 상대방이 재혼하지 않았더라도 민법 제974조 제3호에 의하여 생계를 같이 하는 경우에 한하여 부양의무가 인정된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혼인무효] 중혼자 사망 후 전혼배우자가 잔존중혼당사자를 상대로 중혼취소를 구할 이익 유무
|
[구분소유] 건물의 증축 부분이 기존 건물 부분과 무관한 용도로 사용되고 벽으로 구분된 경우
|
[전세권] 임차인과 임대인, 제3자합의하여 제3자명의로 경료한 전세권에 대해 설정된 근저당권
|
'가사/행정 > 부양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속관할] 부부간 부양의무 이행 않은 배우자에 상대방 친족이 부양료의 상환청구 시 해당 여부 (0) | 2014.05.05 |
---|---|
[부양의무] 2차 부양의무자의 1차 부양의무자에 대한 상환청구 가능 여부 (0) | 2014.05.05 |
[부양의무] 부부간의 상호부양의무에 있어 이행청구 전 과거의 부양료에 대한 청구의 가부 (0) | 2014.05.02 |
[부양의무] 부부간 부양의무 이행 않은 배우자에 상대방친족이 과거부양료를 상환청구하는 경우 (0) | 2014.05.02 |
[부양의무] 부모와 성년의 자녀·그 배우자 사이에 과거 부양료를 청구할 수 있는 경우 (0) | 2014.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