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례:[전세권] 임차인과 임대인, 제3자합의하여 제3자명의로 경료한 전세권에 대해 설정된 근저당권

전세권설정등기등말소

[대법원 1998.9.4, 선고, 98다20981, 판결]


 

[판시사항]

[2] 실제로는 전세권설정계약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임차보증금반환채권을 담보할 목적으로 임차인과 임대인, 제3자 사이의 합의에 따라 제3자 명의로 전세권설정등기를 경료한 후 그 전세권에 대하여 근저당권이 설정된 경우, 임대인이 그와 같은 사정을 알지 못한 근저당권자에게 위 전세권설정계약이 통정허위표시에 해당한다 하여 무효를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2] 실제로는 전세권설정계약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임대차계약에 기한 임차보증금반환채권을 담보할 목적으로 임차인과 임대인, 제3자 사이의 합의에 따라 제3자 명의로 전세권설정등기를 경료한 후 그 전세권에 대하여 근저당권이 설정된 경우, 가사 위 전세권설정계약만 놓고 보아 그것이 통정허위표시에 해당하여 무효라고 한다 하더라도, 이로써 위 전세권설정계약에 의하여 형성된 법률관계를 토대로 별개의 법률원인에 의하여 새로운 법률상 이해관계를 갖게 된 근저당권자에 대해서는 그와 같은 사정을 알고 있었던 경우에만 그 무효를 주장할 수 있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가압류변경] 가압류의 이의절차에서 신청이유의 피보전권리를 변경할 수 있는지 여부
  • ...게 검토·확정할 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이 이루어지는 사정에 비추어 보면, 당사자가 권리 없음이 명백한 피보전권리를 내세워 가압류를 신청한 것이라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청구의 기초에 변경이 없는 범위 내에서는 가압류의 이의절차에서도 신청이유의 피보전권리를 변경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대법원 1982. 3. 9. 선고 81다1221, 1222, 8...

[가압류변론] 가압류이의신청결정에 대한 즉시항고의 경우, 변론 여부 및 당사자 등 심문 여부
  • ...제23조 제1항). 그런데 민사소송법은 결정으로 완결할 사건에 대하여는 법원이 변론을 열 것인지 아닌지를 정하고, 변론을 열지 아니할 경우에 법원은 당사자와 이해관계인, 그 밖의 참고인을 심문할 수 있다고 규정(제134조 제1항 단서, 제2항)하는 한편 민사집행법은 가압류이의신청에 대한 재판은 결정으로 하고, 이의신청이 있는 때에는 법원은 변론기일 또는 당...

[대지사용권] 대지소유자의 집합건물 전유부분은 소유권이전등기하고 대지지분 미등기 한 경우
  • ...규약이나 공정증서로써 달리 정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전유부분과 종속적 일체불가분성이 인정되므로(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0조 제1항, 제2항), 대지소유권을 가진 집합건물의 건축자로부터 전유부분을 매수하여 그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매수인은 전유부분의 대지사용권에 해당하는 토지공유지분(이하 ‘대지지분’이라고 한다)에 관한 이...

 

'부동산집행 > 매각방법등 지정·공고·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정지상권] 동일인의 토지와 건물에 관해 저당권 설정 후 건물이 합동되어 신건물이 생긴 경우  (0) 2014.05.05
[일괄매각] 토지에 안분할 매각대금은 법정지상권 등 제한없는 상태의 토지 기준으로 산정 여부  (0) 2014.05.05
[법정지상권] 동일인의 토지와 건물에 관해 공동저당권이 설정 후 건물이 철거되고 신축된 경우  (0) 2014.05.05
[유치권] 점유를 이전받고 경매개시결정기입이 마쳐진 뒤 공사를 완공하여 채권을 취득한 경우  (0) 2014.04.30
[전세권] 채권담보의 목적으로 전세권을 설정하고 목적물을 인도하지 아니한 경우, 전세권 효력  (0) 2014.04.25
[담보권] 채권자·채무자 및 제3자 합의로 전세권 등 담보권을 제3자명의로 하는 것이 가능한지  (0) 2014.04.24
[유치권] 근저당권자가 유치권자에 대해 유치권부존재확인의 소를 구할 법률상의 이익 인정사례  (0) 2014.04.23
[전세권] 임대인과 임차인 및 제3자의 합의에 따라 제3자 명의로 경료된 전세권설정등기의 효력  (0) 2014.04.23
[유치권] 압류효력이 발생한 후에 점유를 이전 받고 이에 공사를 함으로써 유치권을 취득한 경우  (0) 2014.04.23
[유치권] 압류효력이 발생한 후에 부동산공사대금 채권자가 점유함으로써 유치권을 취득한 경우  (0) 2014.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