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경매개시결정] 경매개시결정의 고지 없이 유효하게 경매절차를 속행할 수 있는지 여부 부동산경락허가결정 [대법원 1991.12.16, 자, 91마239, 결정] |
[판결요지]
다. 경매개시결정은 비단 압류의 효력을 발생시키는 것일 뿐만 아니라 경매절차의 기초가 되는 재판이어서 그것이 당사자에게 고지되지 않으면 효력이 있다고 할 수 없고 따라서 따로 압류의 효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경매개시결정의 고지 없이는 유효하게 경매절차를 속행할 수 없다.
[이유]
이 사건 경매기일에는 물론 경락기일에서도 아직 재항고인에 대한 경매개시결정은 송달되지 않은 상태였다고 할 것인바, 경매개시결정은 비단 압류의 효력을 발생시키는 것일 뿐만 아니라 경매절차의 기초가 되는 재판이어서 그것이 당사자에게 고지되지 않으면 효력이 있다 고 할 수 없고 따라서 따로 압류의 효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경매개시결정의 고지 없이는 유효하게 경매절차를 속행할 수 없다고 할 것이므로 결국 경매법원은 아직 경매기일을 진행할 수 없는 상태에서 경매기일을 진행하고 경락을 허가하였다고 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이 경락허가결정에는 민사소송법 제728조에 의하여 준용되는 동법 제642조 제2항, 제633조 제1호 후단의 항고사유가 있다는 재항고인의 이 사건 항고는 정당하다고 할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민사소송법 제603조 제4항에 의하면 경매개시결정이 있는 경우 경매부동산에 대한 압류의 효력은 채무자에게 그 결정이 송달된 때 또는 경매개시의 사유가 등기부에 기재된 때 발생한다는 취지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경매개시사유가 등기부에 기재되고 채무자(소유자를 말하는 듯함)에게 그 결정이 송달되지 않은 경우에도 그 경매절차가 위법하다고 볼 것은 아닌 바, 이 사건 경매부동산에 대한 경매신청사유가 등기부에 기재된 사실은 기록상 명백하므로 이 사건의 경우 채무자에게 경매개시결정을 송달하지 아니하여도 그 경매절차가 위법하다고는 할 수 없다고 설시하면서 경매법원의 경락허가결정을 적법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니 이는 필경 부동산에 대한 압류의 효력만 생기면 경매개시결정이라는 재판의 효력이 바로 발생한 것으로 오해하였거나 그렇지 않으면 경매개시결정의 효력발생 없이 경매절차를 속행하여 경락할 수 있는 것으로 법리를 오해하였다고 할 것이고, 이 위법은 재판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것이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부동산매매계약약정] 부가가치세부담약정된 계약에서 부가세지급과 이전등기의 동시이행관계
|
[송달교부] 우편집배원이 압류및전부명령 결정정본을 특별송달함에 있어 부적법한 송달한 경우
|
[가압류취소] 본안승소 후 채무자사망한 뒤 1순위 상속인의 상속포기가 본집행장애 해당하는지
|
'부동산집행 > 경매신청/개시결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구확장] 질권설정금액 범위 내에서 피담보채권의 원금 및 지연손해금을 모두 청구한 사례 (0) | 2014.04.29 |
---|---|
[경매신청] 경매청구채권으로 이자등 부대채권을 표시한 경우 청구금액 확장할 수 있는지 여부 (0) | 2014.04.28 |
[경매신청] 담보권 실행을 위한 경매절차에서 신청채권자가 청구금액을 확장할 수 있는지 여부 (0) | 2014.04.27 |
[경매신청] 경매대상 건물이 합동되어 독립성을 상실한 경우, 그 건물에 대한 저당권 존속 범위 (0) | 2014.03.20 |
[경매신청] 경매대상 건물이 다른 건물과 합동(合棟)되어 독립성을 상실한 경우 경매신청의 가부 (0) | 2014.03.20 |
[경매신청기각] 사립학교 교육에 직접 사용하는 교지, 교사등 재산에 대하여 강제집행 가능 여부 (0) | 2014.02.27 |
[경매신청기각] 학교법인재산의 매도금지가 강제 경매절차에 의한 매도금지도 포함 되는지 여부 (1) | 2014.02.26 |
[개시결정취소] 가압류권자신청으로 경매 진행중 해방공탁으로 가압류취소 및 등기 말소된 경우 (1) | 2014.02.24 |
[경매개시결정] 부동산 소유자에게 경매절차 개시결정을 송달하지 아니하고 한 경매절차의 효력 (0) | 2014.02.03 |
[공유물분할을위한경매] 건축허가나 신고 없이 건축된 미등기 건물에 대하여 허용되는지 여부 (0) | 2013.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