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가지급금] 가집행한 뒤 본안판결의 일부나 전부가 실효된 경우, 가지급금 반환신청제도의 성질 공사대금 [대법원 2011.8.25, 선고, 2011다25145, 판결] |
[판시사항]
[1] 가집행선고에 의하여 집행을 하였으나 본안판결 일부 또는 전부가 실효되는 경우, 가집행선고에 기하여 이미 지급받은 것이 부당이득반환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적극) 및 위 가지급물 반환신청제도의 성질(=본안판결 취소·변경을 조건으로 하는 예비적 반소)
[판결요지]
[1] 가집행선고부 판결에 기한 집행의 효력은 확정적인 것이 아니고 후일 본안판결 또는 가집행선고가 취소·변경될 것을 해제조건으로 하는 것이다. 즉 가집행선고에 의하여 집행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후일 본안판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실효되면 이전의 가집행선고부 판결에 기하여는 집행을 할 수 없는 것으로 확정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집행선고에 기하여 이미 지급받은 것이 있다면 이는 법률상 원인이 없는 것이 되므로 부당이득으로서 반환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가지급물 반환신청은 가집행에 의하여 집행을 당한 채무자가 별도의 소를 제기하는 비용, 시간 등을 절약하고 본안의 심리 절차를 이용하여 신청의 심리를 받을 수 있는 간이한 길을 터놓은 제도로서 그 성질은 본안판결의 취소·변경을 조건으로 하는 예비적 반소에 해당한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담보제공] 권리행사최고에 따라 담보권리행사를 위해 제기한 소송비용이 피담보채권이 되는지
|
[신청각하] 농지법이 규정한 농지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사유가 구체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서면
|
[소송사기] 공사대금 채권을 실제와 달리 허위로 부풀려 유치권에 의한 경매를 신청한 경우
|
'민 사 > 가집행선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지급금] 가집행선고의 실효로 인한 원상회복의무의 지연손해금에 대하여 적용할 법정이율 (0) | 2014.03.23 |
---|---|
[가지급금] 가집행 후 항소심에서 공사대금지급청구를 회생채권확정 구하는 소로 변경한 경우 (0) | 2014.03.23 |
[가지급금] 가집행 후 항소심에서 회생채권확정의 소로 교환적으로 변경되어 취하로 되는 경우 (0) | 2014.03.22 |
[가지급금] 가집행선고에 따라 금전지급한뒤 상소심에서 본안판결의 일부나 전부가 실효된 경우 (0) | 2014.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