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배당금귀속] 배당금 지급후 근저당권자가 채무자와 체결한 설정계약이 사해행위로 취소된 경우 사해행위 취소등 [대법원 2012.12.26, 선고, 2011다60421, 판결] |
[판시사항]
[2] 경매법원이 근저당권자를 배당을 받아야 할 채권자로 인정하여 배당금을 지급하였는데 근저당권자가 채무자와 체결한 근저당권설정계약이 사해행위에 해당되어 취소됨으로써 근저당권에 기하여 배당받을 권리가 상실된 경우, 수익자인 근저당권자에게 지급된 배당금의 귀속
[이유]
(1) 확정된 배당표에 의하여 배당을 실시하는 것은 실체법상의 권리를 확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배당을 받아야 할 채권자가 배당을 받지 못하고 배당을 받지 못할 자가 배당을 받은 경우에는, 배당을 받지 못한 채권자로서는 배당에 관하여 이의를 한 여부 등에 관계없이 배당을 받지 못할 자이면서도 배당을 받았던 자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가지며, 반대로 자신이 배당받아야 할 금액보다 초과하여 배당받은 채권자는 그 초과 부분을 적법하게 배당요구를 하였으나 정당한 배당을 받지 못한 다른 채권자에게 부당이득으로서 반환할 의무가 있다(대법원 2007. 2. 9. 선고 2006다39546 판결, 대법원 2011. 2. 10. 선고 2010다90708 판결 등 참조).
위와 같은 법률관계는 경매법원이 근저당권자를 배당을 받아야 할 채권자로 인정하여 배당금을 지급하였는데 그 근저당권자가 채무자와 체결한 근저당권설정계약이 사해행위에 해당되어 취소됨으로써 그 근저당권에 기하여 배당받을 권리가 상실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경우 수익자인 근저당권자에게 지급된 배당금은 사해행위로 설정된 근저당권이 없었더라면 배당절차에서 더 많이 배당받을 수 있었던 다른 배당요구권자들에게 반환되어야 하고, 배당요구를 하지 아니한 채권자 및 채무자 등은 다른 배당요구권자들의 배당요구채권을 모두 충족시키고도 남는 잉여금이 있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수익자에 대하여 아무런 권리를 갖지 못하며, 이는 배당요구를 하지 아니한 채권자가 그 근저당권을 설정한 계약에 대하여 사해행위 취소의 소를 제기하여 승소한 자라 할지라도 마찬가지이다(대법원 2002. 9. 24. 선고 2002다33069 판결, 대법원 2009. 5. 14. 선고 2007다64310 판결 등 참조).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매각불허가] 임차인과 소유자가 부자관계임을 기재하지 않은 경우를 중대한 흠으로 보는지
|
[학교법인재산] 사립학교 교지에 대하여 한 국세징수법에 의한 학교법인재산 압류처분의 효력
|
[집행정지] 경매채권자 상대로 담보권효력을 다투는 소제기한 바 없는데 내린 경매절차정지결정
|
'부동산집행 > 배당절차/배당이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선변제권] 가등기 후 이해관계인이 생기고 기존 가등기에 피담보채권 추가 약정하는 경우 (0) | 2014.05.21 |
---|---|
[일괄경매] 일괄경매를 청구한 토지의 저당권자가 건물의 매각대금에서 배당을 받기 위한 요건 (0) | 2014.05.05 |
[부당이득] 확정배당표로 배당실시 후 배당받지 못한 일반채권자에 부당이득반환청구권 있는지 (0) | 2014.04.30 |
[배당금반환] 사해행위취소 등으로 배당이의소를 제기하여 승소한 채권자가 초과 배당받은 경우 (0) | 2014.04.30 |
[배당표경정] 근저당권설정계약이 사해행위취소되었으나 이미 경매로 타인에 소유권이전된경우 (0) | 2014.04.29 |
[외화채권] 경매절차에서 외화채권자에게 배당을 하는 경우 외화채권의 환산기준시기 (0) | 2014.03.24 |
[배당이의] 임의경매로 사해행위인 저당권이 말소되고 채권자가 배당기일출석 배당이의 한 경우 (0) | 2014.03.19 |
[배당이의] 배당이의의 소가 부적법하여 각하하여야 함에도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 경우 (0) | 2014.03.03 |
[배당이의] 집행력 있는 판결정본을 가진 채권자에 대해 채무자의 배당이의의 소가 가능한 경우 (0) | 2014.03.02 |
[시효중단] 가압류채권 배당액의 공탁사유가 말소된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 효력을 유지하는지 (1) | 201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