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집행정지] 강제집행정지결정정본을 집행기관에 제출하기 전 행해진 집행처분에 대한 효력여부 채권압류및추심명령 [대법원 2010.1.28, 자, 2009마1918, 결정] |
[판시사항] 강제집행정지결정에 의한 집행정지의 효력발생 요건
[이유]
강제집행정지결정이 있으면 결정 즉시로 당연히 집행정지의 효력이 있는 것이 아니고, 그 정지결정의 정본을 집행기관에 제출함으로써 집행정지의 효력이 발생함은 민사집행법 제49조 제2호의 규정취지에 비추어 명백하고 ( 구 민사소송법 제510조에 관한 대법원 1966. 8. 12.자 65마1059 결정 등 참조), 그 제출이 있기 전에 이미 행하여진 압류 등의 집행처분에는 영향이 없다.
따라서 이 사건에서 채무자가 2009. 5. 29.자로 강제집행정지결정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이를 집행법원에 제출하지 아니한 사이에 이 사건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이 내려졌으므로 그 명령은 유효하고, 다만 위 강제집행정지결정이 사법보좌관에게 제출된 2009. 6. 10. 이후에는 장래에 대하여 이 사건 조정조서 정본에 기한 강제집행이 정지되어 추심금지의 결정 등 그때그때의 상황에 적합한 조치가 취하여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강제집행정지결정이 내려졌으나 그것이 집행법원에 제출되지 아니한 사이에 내려진 이 사건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이 위법하여 취소되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말았으니, 원심결정에는 강제집행정지결정의 효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재판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 점을 지적하는 재항고취지는 이유 있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민사집행법부칙] 담보권실행을 위한 경매사건 및 그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 사건에 적용할 법률
|
[혼인] 사실혼관계에 있던 당사자 일방이 사망한 후 사실혼관계 존부확인청구의 제척기간
|
[집행절차취소] 집행법원이 집행장애사유에 대하여 취해야 할 조치(집행신청각하,기각,절차취소)
|
'민사집행 > 집행정지/취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행정지] 경매채권자 상대로 담보권효력을 다투는 소제기한 바 없는데 내린 경매절차정지결정 (0) | 2014.03.16 |
---|---|
[집행정지] 임의경매절차에 대해 민사집행법 제46조에 따라 절차의 정지를 신청하기 위한 전제 (0) | 2014.03.16 |
[집행정지] 강제집행정지결정에 의한 집행정지의 효력발생 (정지결정의 정본을 집행기관에 제출) (0) | 2014.02.16 |
[집행절차취소] 집행법원이 집행장애사유에 대하여 취해야 할 조치(집행신청각하,기각,절차취소) (0) | 2014.02.03 |
[집행절차취소] 강제집행이 정지된 가집행선고부 판결로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 신청을 한 경우 (0) | 2013.12.09 |
[특별항고] 강제집행정지신청기각결정에 대한 불복방법 및 결정에 대한 항고접수법원의 조치 (0) | 2013.12.07 |
[집행취소] 가집행의 선고가 있는 판결을 취소한 항소심 판결의 사본을 제출한 경우 (0) | 201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