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유치권] 유치권경매가 정지되고 강제경매 또는 임의경매로 매각된 경우, 유치권이 소멸하는지 건물 명도 [대법원 2011.8.18, 선고, 2011다35593, 판결] |
[판시사항]
[2] 유치권에 의한 경매절차가 정지된 상태에서 목적물에 대한 강제경매 또는 담보권 실행을 위한 경매절차가 진행되어 매각이 이루어진 경우, 유치권이 소멸하는지 여부(소극)
[3] 유치권자인 甲의 신청으로 점포 등에 대하여 유치권에 의한 경매절차가 개시되어 진행되던 중 근저당권자의 신청으로 점포 등에 대해 경매절차가 개시되어 유치권에 기한 경매절차는 정지되었고 乙이 담보권 실행 등을 위한 경매절차에서 점포를 낙찰받아 소유권을 취득하였는데, 이후 점포에 대하여 다시 개시된 경매절차에서 丙 등이 점포를 낙찰받아 소유권을 취득한 사안에서, 유치권에 의한 경매절차는 근저당권에 의한 경매절차가 개시됨으로써 정지되었고 乙이 경매절차에서 점포를 낙찰받아 유치권 부담까지 함께 인수받았다고 보아야 하므로, 유치권자인 甲은 공사대금 중 미변제된 부분을 모두 변제받을 때까지 점포를 유치할 권리가 있다고 본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이유]
부동산에 관한 강제경매 또는 담보권 실행을 위한 경매절차에서의 매수인은 유치권자에게 그 유치권으로 담보하는 채권을 변제할 책임이 있고( 민사집행법 제91조 제5항, 제268조), 유치권에 의한 경매절차는 목적물에 대하여 강제경매 또는 담보권 실행을 위한 경매절차가 개시된 경우에는 정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민사집행법 제274조 제2항), 유치권에 의한 경매절차가 정지된 상태에서 그 목적물에 대한 강제경매 또는 담보권 실행을 위한 경매절차가 진행되어 매각이 이루어졌다면, 유치권에 의한 경매절차가 소멸주의를 원칙으로 하여 진행된 경우와는 달리 그 유치권은 소멸하지 않는다고 봄이 상당하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경매개시결정] 경매개시결정의 고지 없이 유효하게 경매절차를 속행할 수 있는지 여부
|
[가압류목적] 가압류명령 송달 이후 채무자계좌에 입금될 예금채권이 가압류대상이 되는지 여부
|
[재산명시] 재산관계명시결정에 소멸시효 중단사유인 (가)압류, 가처분에 준하는 효력 인정 여부
|
'부동산집행 > 매각방법등 지정·공고·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일통지] 이해관계인에 대한 매각(결정)기일의 통지가 규칙 제8조 제4항의 적용이 배제되는지 (0) | 2014.05.20 |
---|---|
[유치권] 유치권경매 시 법원이 유치권부담을 인수하게 된다는 취지를 공고 등 기재해야 하는지 (0) | 2014.05.06 |
[법정지상권] 동일인의 토지와 건물에 관해 저당권 설정 후 건물이 합동되어 신건물이 생긴 경우 (0) | 2014.05.05 |
[일괄매각] 토지에 안분할 매각대금은 법정지상권 등 제한없는 상태의 토지 기준으로 산정 여부 (0) | 2014.05.05 |
[법정지상권] 동일인의 토지와 건물에 관해 공동저당권이 설정 후 건물이 철거되고 신축된 경우 (0) | 2014.05.05 |
[유치권] 점유를 이전받고 경매개시결정기입이 마쳐진 뒤 공사를 완공하여 채권을 취득한 경우 (0) | 2014.04.30 |
[전세권] 채권담보의 목적으로 전세권을 설정하고 목적물을 인도하지 아니한 경우, 전세권 효력 (0) | 2014.04.25 |
[전세권] 임차인과 임대인, 제3자합의하여 제3자명의로 경료한 전세권에 대해 설정된 근저당권 (0) | 2014.04.25 |
[담보권] 채권자·채무자 및 제3자 합의로 전세권 등 담보권을 제3자명의로 하는 것이 가능한지 (0) | 2014.04.24 |
[유치권] 근저당권자가 유치권자에 대해 유치권부존재확인의 소를 구할 법률상의 이익 인정사례 (0) | 201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