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례:[전부명령] 공탁금출급청구채권자가 갑임에도 권리자가 을,의무자가 갑으로 전부명령이 된 경우

부당이득금

[대법원 2000.10.10, 선고, 99다53230, 판결]


 

[판시사항]

[3] 압류 및 전부된 채권이 공탁금출급청구채권으로서 그 청구채권을 가진 자는 갑임에도 불구하고 을을 채무자로 하고 갑을 제3채무자로 하여 마치 그 공탁금출급청구채권의 권리자가 을이고 그 의무자가 갑인 것처럼 압류 및 전부명령이 이루어진 경우, 그 압류 및 전부명령상 채무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피압류 및 전부채권이 존재하지 아니한다는 이유로 그 압류 및 전부명령은 무효라고 한 사례

 


 

[판결요지]

[3] 압류 및 전부된 채권이 공탁금출급청구채권으로서 그 청구채권을 가진 자는 갑임에도 불구하고 을을 채무자로 하고 갑을 제3채무자로 하여 마치 그 공탁금출급청구채권의 권리자가 을이고 그 의무자가 갑인 것처럼 압류 및 전부명령이 이루어진 경우, 그 압류 및 전부명령상 채무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피압류 및 전부채권이 존재하지 아니한다는 이유로 그 압류 및 전부명령은 무효라고 한 사례.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집행이의] 법원이 최고가매수신고인에 대해 특별한 사정 없이 매각허가여부결정을 않은 경우
  • ...항고인에 대하여 매각허가 여부의 결정을 하여야 하는 것인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결정을 하지 않고 있는 원심에 대하여 특별항고인은 집행에 관한 이의로 불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원심은 특별항고인의 이의신청이 집행법원의 결정에 관한 것이 아니라고 속단하여 이를 부적법하다고 보아 각하하고 말았으니, 이러한 원심의 조치에는 특별항고인의 재판청구권, 평...

[친생자관계] 재혼하는 처의 자식을 친생자출생신고한 경우 그 친자관계부존재확인청구의 적부
  • ...세에 불과한 피청구인들을 친자식처럼 기르기로 합의하고 친생자로 출생신고하였다면, 그 의사 속에는 법률상 친자관계 이상의 관계를 맺으려는 의사, 적어도 양친자관계를 창설하려는 의사가 당연히 포함되었다고 볼 수 있고, 그 의사는 위 출생신고에 의하여 확실하게 표시되었으며, 친자적인 공동생활 관계가 지속됨으로써 더 확고하게 보증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입양당사자 ...

[전부명령] 상대방 허위주소로 송달된 가집행선고부 판결정본에 기한 채권압류및전부명령 효력
  • ...결정본에 기하여 행하여진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은 집행개시의 요건으로서의 채무명의의 송달없이 이루어진 것으로서 무효라 할 것이다.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바와 같이 이 사건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의 기초가 된 채무명의인 가집행선고부 판결정본이 그 상대방인 위 박인웅과 세대를 같이하는 동거인이 아닌 소외 강 효달에게 송달되었다면 위 송달은 부적법하여 무효이고, ...

 

 

'동산집행 > 추심명령/전부명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부명령항고] 채무자가 강제집행의 일시정지를 명한 재판의 정본을 제출할 수 있는 시한  (0) 2014.04.22
[전부명령항고] 전부명령 후 채무자가 강제집행의 일시정지를 명한 재판의 정본을 제출한 경우  (0) 2014.04.22
[추심신고] 채권자가 제3채무자로부터 압류채권추심 후 추심신고한 경우, 채권집행의 종료 절차  (0) 2014.02.25
[집행정지] 제3채무자에 대한 집행정지 통보의 송달 여부가 집행정지의 효력 발생에 영향여부  (0) 2014.02.23
[집행정지] 채권자에 대한 강제집행정지결정정본 송달 여부가 집행정지의 효력 발생에 영향여부  (0) 2014.02.22
[추심명령] 면책결정확정이 면책채무에 기한 채권압류및추심명령에 대한 적법한 항고이유인지  (0) 2014.02.19
[전부명령] 재단채권의 전부명령확정전 회생절차개시로 즉시항고 제기된 경우, 항고법원의 조치  (0) 2014.02.17
[전부명령] 회생재단채권에 대한 압류및전부명령의 확정 전 절차개시로 즉시항고가 제기된 경우  (0) 2014.02.16
[전부명령] 상대방 허위주소로 송달된 가집행선고부 판결정본에 기한 채권압류및전부명령 효력  (1) 2014.01.31
[전부명령] 상속포기자를 집행채무자로 하여 확정된 채권압류및전부명령의 실체법상 효력 유무  (0) 2013.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