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선택채권] 맹지주에게 인접 지주가 공장설립허가 후 합병된 토지 중 일부를 분할받기로 한 사례 부동산 소유권 이전 등기 [대법원 2011.6.30, 선고, 2010다16090, 판결] |
[판시사항]
[2] 가구공장을 경영할 목적으로 부지를 매수하였으나 부지가 도로에 접하지 않은 맹지여서 공장설립허가를 받을 수 없었던 甲과 위 부지에 연접한 토지로서 맹지는 아니나 형상이 남북으로 좁고 길어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던 乙이, 먼저 乙 소유 토지를 甲 소유 토지에 합병한 후 합병된 토지 중 乙 소유 토지 면적에 상응하는 만큼의 토지를 분할하여 乙에게 이전하여 주기로 하는 내용의 교환계약을 체결하였으나 이전할 토지의 위치에 관하여는 합의를 하지 않은 사안에서, 乙이 甲에게 가지는 채권은 민법 제380조에서 정한 선택채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데도, 공유관계 설정에 관한 합의를 의제하여 지분소유권이전등기를 명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판결요지]
[2] 가구공장을 경영할 목적으로 부지를 매수하였으나 부지가 도로에 접하지 않은 맹지여서 공장설립허가를 받을 수 없었던 甲과 위 부지에 연접한 토지로서 맹지는 아니나 형상이 남북으로 좁고 길어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던 乙이, 먼저 乙 소유 토지를 甲 소유 토지에 합병한 후 합병된 토지 중 乙 소유 토지 면적에 상응하는 만큼의 토지를 분할하여 乙에게 이전하여 주기로 하는 내용의 교환계약을 체결하였으나 이전할 토지의 위치에 관하여는 합의를 하지 않은 사안에서, 위 교환계약은 합병된 토지 중 乙 소유 토지 면적에 상응하는 만큼의 토지를 선정한 다음 그와 같이 확정된 토지의 소유권을 乙에게 이전해 주기로 약정한 것이라고 보아야 하고, 따라서 이전받을 토지의 위치가 확정되지 않았다면 乙이 甲에게 가지는 채권은 민법 제380조에서 정한 선택채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데도, 위치 선정에 관한 합의가 되지 않았다는 사정만으로 공유관계 설정에 관한 합의를 의제하여 甲에게 지분소유권이전등기를 명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법정지상권] 타인 소유 대지 위에 건물을 신축한 경우 관습에 의한 법정지상권 취득 여부
|
[이혼] 재일교포간 우리민법상 혼인유효하나 호적에 기재되지 않고 일본에서 이혼 합의한 경우
|
[간접강제] 간접강제결정에서 명한 이행기간이 지난 후에 채무를 이행한 경우, 지연 배상금 집행
|
'임대차/매매 > 부동산매매계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당이득] 토지합병 후 분할교환계약 시 측량으로 정정된 면적만큼 추가로 소유권 이전된 경우 (0) | 2014.03.23 |
---|---|
[불능특정] 계약에 따른 목적물의 선택권을 주기로 하는 합의가 있었음이 인정되지 않았던 사례 (0) | 2014.03.23 |
[선택채권] 1필 이상의 토지 중 일정 면적에 대해 양도계약체결 시 토지 위치가 확정 안된 경우 (0) | 2014.03.22 |
[법정지상권 등기청구권] 법정지상권부 건물을 양수한 자의 지상권설정등기청구 가능 여부 (0) | 2013.12.03 |
[등기비용 부당이득] 소유권이전절차비용 매수자부담 약정 후 보존등기비용까지 부담한 경우 (0) | 2013.12.02 |
[손해배상] 중개업자가 자기의 중개사무소를 타인의 중개행위의 장소로 제공하여 발생한 손해 (0) | 2013.11.29 |
[부동산매매계약약정] 부가가치세부담약정된 계약에서 부가세지급과 이전등기의 동시이행관계 (0) | 2013.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