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례:[가압류취소] 가압류가 본집행이행된 경우,가압류집행 취소결정이 본집행에 영향 미치는지 여부

취소기각

[대법원 2002.3.15, 자, 2001마6620, 결정]


 

[판시사항]

[1] 가압류집행이 본집행으로 이행된 경우, 가압류집행의 효력을 다툴 수 있는지 여부(소극) 및 가압류집행 취소결정이 본집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가압류집행이 있은 후 그 가압류가 강제경매개시결정으로 인하여 본압류로 이행된 경우에 가압류집행이 본집행에 포섭됨으로써 당초부터 본집행이 있었던 것과 같은 효력이 있고, 본집행의 효력이 유효하게 존속하는 한 상대방은 가압류집행의 효력을 다툴 수는 없고 오로지 본집행의 효력에 대하여만 다투어야 하는 것이므로, 본집행이 취소, 실효되지 않는 한 가압류집행이 취소되었다고 하여도 이미 그 효력을 발생한 본집행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특별현금화방법] 주식의 유체동산 간주 여부 및 주식에 대한 특별현금화명령에 대한 불복방법
  • ...명령은 민사집행법 제251조에 의하여 준용되는 민사집행법 제241조가 적용되어야 하므로, 이 사건 주식에 대한 특별현금화명령인 집행법원의 이 사건 결정은 민사집행법 제241조 제1항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야 하고[채권자가 유체동산에 대하여 적용되는 민사집행법 제214조를 적시하여 이 사건 신청을 하였다거나 집행법원이 결정 이유에 민사집행법 제241조...

[손해배상] 태아부모의 위자료 산정시 의료과오로 분만중 사망한 신생아의 손해를 참작한 사례
  • ...이 개시된 태아가 위험한 상황에 빠지는 것을 방치하거나 의료과오를 은폐하는 수단을 조장할 우려가 있는 점, 태아의 수정·성장 및 출산이라는 일련의 과정에서 보면 정상적으로 성장하여 분만이 개시된 단계에 이른 태아는 그 생명적 가치나 보호의 필요성이라는 측면에서 이미 출산을 마친 신생아 못지 아니한 점 등을 감안할 때, 그 태아의 부모에 대한 의료과오로 인한...

[시효중단] 본안의 승소판결이 확정된 경우,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소멸되는지 여부
  • ...[2] 민법 제168조에서 가압류와 재판상의 청구를 별도의 시효중단사유로 규정하고 있는데 비추어 보면, 가압류의 피보전채권에 관하여 본안의 승소판결이 확정되었다고 하더라도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이에 흡수되어 소멸된다고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