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례:[유치권경매] 부동산 위의 부담을 소멸시키는 것을 매각조건으로 실시여부,유치권자의 배당순위

유치권신청에의한임의경매결정에대한즉시항고

[대법원 2011.6.15, 자, 2010마1059, 결정]


 

[판시사항]

[1] 민법 제322조 제1항에 따른 유치권에 의한 경매가 목적부동산 위의 부담을 소멸시키는 것을 법정매각조건으로 하여 실시되는지 여부(적극)와 유치권자의 배당순위(=일반채권자와 동일한 순위) 및 집행법원이 매각조건 변경결정을 통해 목적부동산 위의 부담을 매수인이 인수하도록 정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민사집행법 제91조 제2항, 제3항, 제268조는 경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강제경매와 담보권 실행을 위한 경매에서 소멸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전제로 하여 배당요구의 종기결정이나 채권신고의 최고, 배당요구, 배당절차 등에 관하여 상세히 규정하고 있는 점, 민법 제322조 제1항에 “유치권자는 채권의 변제를 받기 위하여 유치물을 경매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유치권에 의한 경매에도 채권자와 채무자의 존재를 전제로 하고 채권의 실현·만족을 위한 경매를 상정하고 있는 점, 반면에 인수주의를 취할 경우 필요하다고 보이는 목적부동산 위의 부담의 존부 및 내용을 조사·확정하는 절차에 대하여 아무런 규정이 없고 인수되는 부담의 범위를 제한하는 규정도 두지 않아, 유치권에 의한 경매를 인수주의를 원칙으로 진행하면 매수인의 법적 지위가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되는 점, 인수되는 부담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인수주의를 취하는 것이 오히려 유치권자에게 불리해질 수 있는 점 등을 함께 고려하면, 유치권에 의한 경매도 강제경매나 담보권 실행을 위한 경매와 마찬가지로 목적부동산 위의 부담을 소멸시키는 것을 법정매각조건으로 하여 실시되고 우선채권자뿐만 아니라 일반채권자의 배당요구도 허용되며, 유치권자는 일반채권자와 동일한 순위로 배당을 받을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다만 집행법원은 부동산 위의 이해관계를 살펴 위와 같은 법정매각조건과는 달리 매각조건 변경결정을 통하여 목적부동산 위의 부담을 소멸시키지 않고 매수인으로 하여금 인수하도록 정할 수 있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항고이유서제출기간] 집행절차의 항고장 제출 후 보정명령을 받아 항고이유서 제출하는 기간
  • ...단독판사 등이 그 이의신청이 이유 없다는 이유로 사법보좌관의 처분을 인가하고 이와 병행하여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이의신청인에게 민사집행법 제15조 제3항에 정해진 항고이유서 제출을 명한 경우에는 보정명령에서 정해진 상당한 기간 내에 항고이유서의 제출이 있다면 이의신청서를 제출한 날부터 10일 이내에 항고이유서를 제1심법원에 제출하지 아니하였다는 이유로 항고...

[강제집행] 강제집행절차에서 집행문이 없는 채무명의에 의하여 이루어진 강제경매의 효력
  • ...효이고 따라서 그 결과 경락허가결정을 원인으로 한 피고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는 원인무효의 등기로서 말소를 면치 못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원심이 채택한 증거들을 기록에 의하여 대조 검토하면 본건 부동산에 관한 강제집행절차에 있어서 집행문이 없이 약속어음금의 지급에 관한 채무명의만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라는 원심의 위 인정사실이 충분히 긍인되는 바로서 원심의 사...

[매각허가항고] 경매부동산에 대한 처분금지가처분자가 경락허가결정에 대하여 한 항고의 적부
  • ...복을 할 수 있게되어 있는데 반하여 이 이해관계인의 범위를 규정한 민사소송법 제607조의 규정에 의하면 재항고인과 같이 경매부동산에 대한 처분금지가 처분권자는 여기에 들어 있지 아니하다. 이러한 취지에서 원심이 재항고인의 이 사건 항고를 부적법하다 하여 각하한 것은 정당하다.( 당원의 1967.12.29. 고지 67마1156 결정 및 1968.1.15. ...

 

'부동산집행 > 매각방법등 지정·공고·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치권] 압류효력이 발생한 후에 부동산공사대금 채권자가 점유함으로써 유치권을 취득한 경우  (0) 2014.04.23
[유치권] 경매절차에서 유치권주장이 신의칙상 허용될 수 없다고 본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0) 2014.04.23
[유치권] 근저당권설정 후 압류효력 발생 전 취득한 유치권으로 경매매수인에 대항할 수 있는지  (0) 2014.04.23
[유치권제도] 사실상 최우선순위담보권인 유치권의 제도적 취지와 한계  (0) 2014.04.23
[유치권] 자기채권 우선만족을 의도로 요건충족하는 거래를 하고 점유하여 유치권 성립한 경우  (0) 2014.04.23
[특별매각] 구분건물이 경락후 인수조건인 토지별도등기의 근저당권 실행으로 분리처분 된 사례  (0) 2014.03.12
[공유물분할] 매각조건 및 부동산 위 부담을 매수인에게 인수시키는 경우 집행법원이 취할 조치  (0) 2014.03.01
[잉여주의] 이중경매개시결정 된 경우, 최저경매가격의 잉여여부를 판단할 기준이 되는 권리  (0) 2014.02.25
[잉여주의] 경매채권자가 여러 개의 부동산을 강제집행할 때 일괄매각결정에 따라 진행된 경우  (0) 2014.02.24
[잉여주의] 압류채권자가 순차로 취득한 집행채무자의 수 개의 공유지분 전부를 강제집행할 때  (0) 2014.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