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사해행위] 원상회복청구의 패소가 예상되는 이유로 사해행위취소의 소이익을 부정할 수 있는지 사해행위 취소등 [대법원 2012.12.26, 선고, 2011다60421, 판결] |
[판시사항]
[1] 사해행위 취소의 소와 원상회복청구의 소의 관계 및 채권자가 원상회복청구의 소에서 패소할 것이 예상된다는 이유로 사해행위 취소의 소에 대하여 소의 이익을 부정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이유]
사해행위 취소의 소와 원상회복청구의 소는 서로 소송물과 쟁점을 달리하는 별개의 소로서 양자가 반드시 동시에 제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별개로 제기될 수 있으며, 전자의 소에서는 승소하더라도 후자의 소에서는 당사자가 제출한 공격·방어 방법 여하에 따라 패소할 수도 있고, 취소채권자가 사해행위 취소의 소를 제기하여 승소한 경우 그 취소의 효력은 민법 제407조에 의하여 모든 채권자의 이익을 위하여 미치고 이로써 그 소의 목적은 달성된다. 이에 비추어 보면, 채권자가 원상회복청구의 소에서 패소할 것이 예상된다는 이유로 그와 별개인 사해행위 취소의 소에 대하여 소송요건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보아 소의 이익을 부정할 수는 없다.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이 사건 근저당권설정계약의 체결이 사해행위에 해당함을 주장하며 수익자인 피고를 상대로 사해행위의 취소를 구함과 아울러 원상회복을 함께 청구하였음을 알 수 있으므로,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고가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임의경매절차에서 배당에 참가하지 아니하여 이 사건 사해행위로 인한 원상회복청구에서 패소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와 별개인 사해행위 취소의 소에 관하여 소의 이익이나 원고 적격을 부정할 수 없다.
원심판결 이유를 살펴보면 원심의 이유설시에 다소 미흡한 점이 없지 아니하나, 원심이 이 사건 사해행위 취소의 소에 관하여 소의 이익이나 원고 적격을 다투는 피고의 본안전항변을 배척한 결론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사해행위 취소의 소의 이익이나 원고 적격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담보취소] 담보취소신청사건관할(담보제공결정을 한 법원 또는 그 기록을 보관하고 있는 법원)
|
[매각허가항고] 경매부동산에 대한 처분금지가처분자가 경락허가결정에 대하여 한 항고의 적부
|
[제3자이의]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제4조 제3항에서 정한 ‘제3자’의 범위
|
'민 사 > 사해행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보제공] 신규자금융통없이 단지 기존채무이행을 유예받기위해 채권자1인에 담보제공한 경우 (0) | 2014.05.19 |
---|---|
[채권자취소권] 협의, 심판 등으로 구체화되지 않은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청구권 포기하는 행위 (0) | 2014.05.02 |
[배당금반환] 근저당권설정계약이 사해행위취소되었으나 이미 입찰에서 낙찰,대금완납된 경우 (0) | 2014.04.30 |
[사해행위] 채무초과상태의 채무자가 유일한 재산을 특정채권자에 대한 채권담보로 제공한 경우 (0) | 2014.03.21 |
[사해행위] 채무자가 유일한 재산을 무상 양도하거나 일부 채권자에게 대물변제로 제공한 경우 (0) | 2014.03.21 |
[제척기간] 채무자가 유일한 재산인 부동산을 매도한 경우,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의 의미 (0) | 2014.03.20 |
[원상회복] 사해행위로 소유권양도 후 저당권실행으로 양수인인 수익자에 배당이 이루어진 경우 (0) | 2014.03.19 |
[원상회복] 임의경매로 사해행위인 저당권이 말소되고 수익자의 배당금지급금지가처분 된 경우 (0) | 2014.03.19 |
[사해행위] 사해행위취소소송에서 수익자의 선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0) | 2014.03.18 |
[사해행위] 사해행위 당시 아직 성립 안 된 채권이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되기 위한 요건 (0) | 2014.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