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송달교부] 우편집배원이 압류및전부명령 결정정본을 특별송달함에 있어 부적법한 송달한 경우 손해배상(기) [대법원 2009.7.23, 선고, 2006다87798, 판결] |
[판시사항]
[1] 특별송달우편물의 배달업무에 종사하는 우편집배원이 압류 및 전부명령 결정 정본을 부적법하게 송달한 경우 집행채권자가 그로 인해 손해를 입게 될 것에 대하여 예견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적극)
[2] 우편집배원이 압류 및 전부명령 결정 정본을 특별송달함에 있어 부적법한 송달을 하고도 적법한 송달을 한 것처럼 보고서를 작성하였으나 압류 및 전부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아 집행채권자가 피압류채권을 전부받지 못한 경우, 국가가 집행채권자의 손해에 대하여 배상책임을 부담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특별송달우편물의 배달업무에 종사하는 우편집배원으로서는 압류 및 전부명령 결정 정본에 대하여 적법한 송달이 이루어지지 아니할 경우에는 법령에 정해진 일정한 효과가 발생하지 못하고 그로 인하여 국민의 권리 실현에 장애를 초래하여 당사자가 불측의 피해를 입게 될 수 있음을 충분히 예견할 수 있다고 봄이 상당하다.
[2] 우편집배원이 압류 및 전부명령 결정 정본을 특별송달하는 과정에서 민사소송법을 위반하여 부적법한 송달을 하고도 적법한 송달을 한 것처럼 우편송달보고서를 작성하여 압류 및 전부의 효력이 발생한 것과 같은 외관을 형성시켰으나, 실제로는 압류 및 전부의 효력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집행채권자로 하여금 피압류채권을 전부받지 못하게 함으로써 손해를 입게 한 경우에는, 우편집배원의 위와 같은 직무상 의무위반과 집행채권자의 손해 사이에는 상당인과관계가 있다고 봄이 상당하고, 국가는 국가배상법에 의하여 그 손해에 대하여 배상할 책임이 있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부동산매매계약약정] 부가가치세부담약정된 계약에서 부가세지급과 이전등기의 동시이행관계
|
[즉시항고절차] 항고이유기재(제출) 등을 하지 않아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 항고법원의 조치
|
[집행이의] 해제신청서의 위조 등을 주장하는 채권자가 말소된 가처분기입등기 회복의 청구방법
|
'민사집행 > 강제집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행장애] 집행채권자의 채권자가 집행채권에 대한 (가)압류, 처분금지가처분이 장애사유여부 (0) | 2014.02.03 |
---|---|
[강제집행] 강제집행절차에서 집행문이 없는 채무명의에 의하여 이루어진 강제경매의 효력 (1) | 2014.01.22 |
[강제집행] 허위주소로 송달된 집행권원으로 개시된 강제경매가 이의나 항고 없이 종료된 경우 (0) | 2014.01.09 |
[강제집행] 소송비용부담의 재판만으로 소송비용상환청구채권의 집행권원이 될 수 있는지 여부 (0) | 2013.12.11 |
[민사집행법부칙] 담보권실행을 위한 경매사건 및 그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 사건에 적용할 법률 (0) | 2013.12.08 |
[변경된 가집행선고의 효력] 제1심 가집행선고부 판결이 항소심에서 금액이 감축 변경된 경우 (0) | 2013.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