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혼인] 사실혼관계에 있던 당사자 일방이 사망한 후 사실혼관계 존부확인청구의 제척기간 사실혼관계존재확인 [대법원 1983.3.8, 선고, 81므76, 판결] |
[판결요지]
사실혼관계에 있던 당사자 일방이 사망하고 난 후 과거의 사실혼관계 존부확인청구를 하는 경우에 동 청구가 신분관계 존부확인청구의 일종이라는 점에서 친생자관계 존부확인청구에 관한 민법 제865조와 인지청구에 관한 민법 제863조의 규정을 유추해석하여야 하므로 그러한 소제기의 제척기간에 관한 규정도 유추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유]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거시증거에 의하여 소외 1이 전소(확정심판)에서의 증언이 전소심판의 증거가 되었는데 동인이 위증죄로 유죄판결을 받아 그 판결이 1980.7.29 확정되고 본건 재심청구가 같은해 8.23 제기되었으므로 이를 적법하다고 인정한 다음, 사실혼관계에 있던 당사자 일방이 사망하고 난 후 과거의 사실혼관계 존부확인청구를 하는 경우에 동 청구가 신분관계 존부확인청구의 일종이라는 점에서 친생자관계 존부확인청구에 관한 민법 제865조와 인지청구에 관한 민법 제863조의 규정을 유추해석하여야 하므로 그러한 소제기의 제척기간에 관한 규정도 유추적용되어야 할 것 이라는 견해아래 망 소외 2와 동거하고 있었다는 청구인이 망 소외 2가 사망한 1975.2.3부터 3년이 훨씬 지난 1979.1.24에 제기한 본건 전소(확정심판)는 제척기간 1년이 도과된 후에 제소된 부적법한 소이므로 위 전소(확정심판)를 취소하고 청구인의 본건 사실혼관계 존재확인청구를 각하함이 정당하다고 하여, 이와 같이 심판한 제1심 판결을 유지하고 있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니 원심의 조처는 정당한 것으로 긍인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 또는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음을 발견할 수 없으므로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손해배상] 불법행위로 손해를 가한 자가 피해자의 부주의를 이유로 과실상계 주장할 수 있는지
|
[가압류변경] 가압류의 이의절차에서 신청이유의 피보전권리를 변경할 수 있는지 여부
|
[친생자관계] 재혼하는 처의 자식을 친생자출생신고한 경우 그 친자관계부존재확인청구의 적부
|
'가사/행정 > 혼인/사실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인신고] 혼인신고가 일방적으로 이루어진 것 이라도 합의에 기초해 유효다고 판단한 실례 (0) | 2014.05.04 |
---|---|
[혼인신고] 별거중인 처에 의한 혼인신고 당시 부의 혼인의사가 있다고 보아 유효하다고 한 사례 (0) | 2014.05.04 |
[혼인무효] 혼례식 후 사실혼관계에서 일방이 혼수상태에 빠져 있는 사이에 혼인신고한 경우 (0) | 2014.05.04 |
[혼인의사] 사실혼관계에 있는 당사자사이의 혼인의사가 불분명한 경우, 혼인의사존재 추정가부 (0) | 2014.05.02 |
[혼인의사] 사실혼관계에 있는 일방이 혼인신고를 하였으나 상대방의 혼인의사가 불분명한 경우 (0) | 2014.05.02 |
[특유재산] 부부일방이 혼인 중 취득한 부동산 취득자금의 출처가 다른 일방인 경우, 추정사실 (0) | 2014.05.02 |
[혼인무효] 혼인무효의 소제기 전 이해관계인이 다른 소송에서 선결문제로 혼인무효의 주장가부 (0) | 2014.05.02 |
[혼인무효] 권리남용이거나 신의칙에 반해 위법한 것이 될 수 없다고 본 혼인취소청구 사례 (1) | 2013.12.24 |
[혼인] 배우자 있는 자가 이중호적을 만들어 타인과 다시 혼인한 경우, 중혼해당 여부 (0) | 2013.12.19 |
[혼인] 우리 나라 사람들이 혼인 거행지인 일본국의 호적법에 따른 혼인신고한 경우의 혼인효력 (0) | 2013.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