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부양의무] 2차 부양의무자의 1차 부양의무자에 대한 상환청구 가능 여부 구상금 [대법원 2012.12.27, 선고, 2011다96932, 판결] |
[판시사항]
[1] 부부간의 상호부양의무와 부모의 성년 자녀에 대한 부양의무의 우선순위 및 2차 부양의무자의 1차 부양의무자에 대한 상환청구 가능 여부(적극)
[판결요지]
[1] 민법 제826조 제1항에 규정된 부부간 상호부양의무는 혼인관계의 본질적 의무로서 부양을 받을 자의 생활을 부양의무자의 생활과 같은 정도로 보장하여 부부공동생활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제1차 부양의무이고, 반면 부모가 성년의 자녀에 대하여 직계혈족으로서 민법 제974조 제1호, 제975조에 따라 부담하는 부양의무는 부양의무자가 자기의 사회적 지위에 상응하는 생활을 하면서 생활에 여유가 있음을 전제로 하여 부양을 받을 자가 자력 또는 근로에 의하여 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하여 그의 생활을 지원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제2차 부양의무이다. 이러한 제1차 부양의무와 제2차 부양의무는 의무이행의 정도뿐만 아니라 의무이행의 순위도 의미하는 것이므로, 제2차 부양의무자는 제1차 부양의무자보다 후순위로 부양의무를 부담한다. 따라서 제1차 부양의무자와 제2차 부양의무자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 제1차 부양의무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제2차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부양의무를 부담하므로, 제2차 부양의무자가 부양받을 자를 부양한 경우에는 소요된 비용을 제1차 부양의무자에 대하여 상환청구할 수 있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배당이의] 배당이의 판결에 의해 확정된 배당액을 부당이득이라는 이유로 반환청구하는 경우
|
[신청각하] 지목이 농지인 토지에 관한 등기신청서에 농지취득자격증명이 첨부되지 않은 경우
|
[시효중단] 권리자가 응소하여 적극적인 권리주장하였으나 소각하되거나 취하되어 종료된 경우
|
'가사/행정 > 부양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속관할] 부부간 부양의무 이행 않은 배우자에 상대방 친족이 부양료의 상환청구 시 해당 여부 (0) | 2014.05.05 |
---|---|
[부양의무] 배우자 사망 후 상대방이 재혼하지 않은 경우 배우자 부모 등과 상대방사이 부양의무 (0) | 2014.05.02 |
[부양의무] 부부간의 상호부양의무에 있어 이행청구 전 과거의 부양료에 대한 청구의 가부 (0) | 2014.05.02 |
[부양의무] 부부간 부양의무 이행 않은 배우자에 상대방친족이 과거부양료를 상환청구하는 경우 (0) | 2014.05.02 |
[부양의무] 부모와 성년의 자녀·그 배우자 사이에 과거 부양료를 청구할 수 있는 경우 (0) | 2014.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