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보존등기] ‘포괄적 유증을 받은 자’의 미등기 토지 또는 건물에 관한 소유권보존등기신청 가부 등기관 등의 처분에 대한 이의 [대법원 2013.1.25, 자, 2012마1206, 결정] |
[판시사항]
부동산등기법 제65조 제1호에서 정한 미등기의 토지 또는 건물에 관한 소유권보존등기를 신청할 수 있는 ‘그 밖의 포괄승계인’에 ‘포괄적 유증을 받은 자’가 포함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부동산등기법 제65조 제1호에서 정한 미등기의 토지 또는 건물에 관한 소유권보존등기를 신청할 수 있는 ‘그 밖의 포괄승계인’에는 ‘포괄적 유증을 받은 자’도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유]
2011. 4. 12. 법률 제10580호로 전부 개정된 부동산등기법은 제65조에서 “미등기의 토지 또는 건물에 관한 소유권보존등기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신청할 수 있다.”고 규정하면서 제1호에 “토지대장, 임야대장 또는 건축물대장에 최초의 소유자로 등록되어 있는 자 또는 그 상속인, 그 밖의 포괄승계인”을 규정하고 있다. 한편 민법 제1078조는 “포괄적 유증을 받은 자는 상속인과 동일한 권리의무가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민법 제1005조 본문은 “상속인은 상속개시된 때로부터 피상속인의 재산에 관한 포괄적 권리의무를 승계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부동산등기법의 개정취지와 내용 및 관련 법률 규정 등을 종합하면, 부동산등기법 제65조 제1호에서 정한 미등기의 토지 또는 건물에 관한 소유권보존등기를 신청할 수 있는 ‘그 밖의 포괄승계인’에는 ‘포괄적 유증을 받은 자’도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부동산매매계약약정] 부가가치세부담약정된 계약에서 부가세지급과 이전등기의 동시이행관계
|
[인지청구] 친생자관계존부확인소송에 대하여 재판상 화해나 조정성립된 경우, 기판력의 범위
|
[배당이의] 개시전 가압류 후 배당확정까지 소명한 우선변제임금채권자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
|
'등기 > 소유권에관한등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유권이전] 예고등기(소취하,조정)가 조정조서로써 소유권이전등기 경료에 장애가 되는지 (0) | 2013.12.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