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명시설명] 특정 질병치료를 위한 외과적 수술 등 과정에서 의료과실로 발생한 손해의 보상여부 보험금 [대법원 2013.6.28, 선고, 2013다22058, 판결] |
[판시사항]
[2] 보험약관의 기재 사항이 별도의 설명없이 보험계약자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것이거나 이미 법령에 의하여 정하여진 것이 경우에도 보험자에게 명시·설명의무가 있는지 여부(소극)
[이유]
일반적으로 보험자 및 보험계약의 체결 또는 모집에 종사하는 자는 보험계약의 체결에 있어서 보험계약자 또는 피보험자에게 보험약관에 기재되어 있는 보험상품의 내용, 보험료율의 체계 및 보험청약서상 기재사항의 변동사항 등 보험계약의 중요한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상세한 명시·설명의무를 지고 있으므로 보험자가 이러한 보험약관의 명시·설명의무에 위반하여 보험계약을 체결한 때에는 그 약관의 내용을 보험계약의 내용으로 주장할 수 없다고 할 것이나, 이러한 명시·설명의무가 인정되는 것은 어디까지나 보험계약자가 알지 못하는 가운데 약관의 중요한 사항이 계약 내용으로 되어 보험계약자가 예측하지 못한 불이익을 받게 되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데에 그 근거가 있으므로, 약관에 정하여진 사항이라고 하더라도 거래상 일반적이고 공통된 것이어서 보험계약자가 별도의 설명 없이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던 사항이거나 이미 법령에 의하여 정하여진 것을 되풀이하거나 부연하는 정도에 불과한 사항이라면, 그러한 사항에 대하여까지 보험자에게 명시·설명의무가 있다고 할 수 없다(대법원 2007. 4. 27. 선고 2006다87453 판결 참조). 그러나 특정 질병 등을 치료하기 위한 외과적 수술 등의 과정에서 의료과실이 개입되어 발생한 손해를 보상하지 않는다는 것은 일반인이 쉽게 예상하기 어려우므로, 약관에 정하여진 사항이 보험계약 체결 당시 금융감독원이 정한 표준약관에 포함되어 시행되고 있었다거나 국내 각 보험회사가 위 표준약관을 인용하여 작성한 보험약관에 포함되어 널리 보험계약이 체결되었다는 사정만으로는 그 사항이 ‘거래상 일반적이고 공통된 것이어서 보험계약자가 별도의 설명 없이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던 사항’에 해당하여 보험자에게 명시·설명의무가 면제된다고 볼 수 없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담보취소] 본안 계속중인 보전처분완결이 권리행사최고및담보취소의 ‘소송완결’요건인정여부
|
[권리능력] 채권자대위소송에서, 95세의 고령인 피대위자의 생존 추정 여부 및 입증책임
|
[재산분할] 부부일방의 특유재산이 분할대상 되는 경우 및 일방의 채무가 청산대상이 되는 경우
|
'보험 > 보험계약/약관/증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멸시효]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의 기산점 (0) | 2014.05.19 |
---|---|
[변경금지] 직업·직종변경 고지의무 위반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보험금을 감축하는 취지의 약정 (0) | 2014.03.10 |
[명시설명] 보험자가 약관 교부 및 설명의무 위반하여 기간 내 계약취소권행사하지 아니한 경우 (0) | 2014.03.08 |
[명시설명] '다른 자동차 운전담보 특별약관' 중 보상하지 아니하는 손해인 조항의 의무대상여부 (0) | 2014.03.08 |
[명시설명] 계약체결 당시 오토바이 운전자에게 보험금지급 제한된다는 약관설명하지 않은 경우 (1) | 2014.03.07 |
[고지의무] 보험약관 명시·설명의무를 위반한 경우, 계약자의 고지의무 위반으로 계약 해지가부 (0) | 2014.03.07 |
[명시설명] 보험약관의 기재 사항이 별도의 설명 없이 보험계약자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경우 (0) | 2014.03.07 |
[보험계약] 보험자가 보험약관의 명시·설명의무를 위반하여 보험계약을 체결한 경우, 계약 내용 (0) | 2014.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