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보험대위] 기명피보험자 의사에 반해 승낙피보험자를 위하여 승낙 받아 운전하여 사고 난 경우 구상금 [대법원 2013.9.26, 선고, 2012다116123, 판결] |
[판시사항]
승낙피보험자로부터 구체적·개별적인 승낙을 받고 승낙피보험자를 위하여 자동차 운전을 하였으나 그것이 기명피보험자의 의사에 명백히 반하는 경우, 운전자가 피보험자동차를 운전하던 중 일으킨 사고로 인한 손해에 대하여 보험금을 지급한 보험자가 상법 제682조에 따라 기명피보험자를 대위하여 운전자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일반적인 자동차종합보험약관에서 보험회사는 피보험자가 피보험자동차를 소유, 사용, 관리하는 동안에 생긴 피보험자동차의 사고로 인한 손해에 대하여 보상책임을 지도록 하면서, 그 피보험자의 범위에 관하여는 ① 보험증권에 기재된 ‘기명피보험자’, ② 기명피보험자의 친족 등 ‘친족피보험자’, ③ 기명피보험자의 승낙을 얻어 운행한 ‘승낙피보험자’, ④ 기명피보험자의 사용자 등 ‘사용피보험자’, ⑤ 위 ① 내지 ④에서 규정한 피보험자를 위하여 피보험자동자를 운전한 ‘운전피보험자’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운전피보험자’는 통상 기명피보험자 등에 고용되어 피보험자동차를 운전하는 자를 의미하지만, 운전업무를 위하여 고용된 자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기명피보험자 등으로부터 구체적·개별적인 승낙을 받고 그 기명피보험자 등을 위하여 운전을 하였다면 운전피보험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설령 승낙피보험자로부터 구체적·개별적인 승낙을 받고 그 승낙피보험자를 위하여 자동차 운전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기명피보험자의 의사에 명백히 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운전자를 운전피보험자에 해당한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그러한 운전자가 피보험자동차를 운전하던 중 일으킨 사고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 보험금을 지급한 보험자는 상법 제682조에 따라 기명피보험자를 대위하여 운전자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집행문부여] 동시이행기한까지 반대의무이행 후 상대방 불이행시 지연손해금 지급약속한 경우
|
[손해배상] 태아부모의 위자료 산정시 의료과오로 분만중 사망한 신생아의 손해를 참작한 사례
|
[소송사기] 공사대금 채권을 실제와 달리 허위로 부풀려 유치권에 의한 경매를 신청한 경우
|
'보험 > 손해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대위] '각 피보험자를 위하여 피보험자동차를 운전중인 자’가 약관상 피보험자에 해당여부 (0) | 2014.03.22 |
---|---|
[보험대위] 약관상 피보험자에 포함되어 있는 승낙피보험자 등의 행위로 보험사고 발생한 경우 (0) | 2014.03.18 |
[자동차운행중사고] 방한 목적으로 시동과 히터를 켜놓은 상태에서 잠을 자다 질식사한 경우? (0) | 2013.12.04 |
[자살 vs 재해] 자살과 재해사망 관련 보험금지급책임 (0) | 2013.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