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간접강제] 간접강제결정 후 의무위반행위가 있은 뒤 이를 중지하거나 금지기간이 경과한 경우 청구이의 [대법원 2012.4.13, 선고, 2011다92916, 판결] |
[판시사항]
[1] 계속적 부작위의무를 명한 가처분에 기하여 간접강제결정이 발령된 상태에서 의무위반행위가 계속되던 중 채무자가 그 행위를 중지하고 장래 의무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적당한 조치를 취하거나 가처분에서 정한 금지기간이 경과한 경우, 채무자가 간접강제결정 발령 후 행한 의무위반행위에 대하여 배상금 지급의무를 면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계속적 부작위의무를 명한 가처분에 기한 간접강제결정이 발령된 상태에서 의무위반행위가 계속되던 중 채무자가 그 행위를 중지하고 장래의 의무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적당한 조치를 취했다거나 가처분에서 정한 금지기간이 경과하였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만으로는 처음부터 가처분위반행위를 하지 않은 것과 같이 볼 수 없고 간접강제결정 발령 후에 행해진 가처분위반행위의 효과가 소급적으로 소멸하는 것도 아니므로, 채무자는 간접강제결정 발령 후에 행한 의무위반행위에 대하여 배상금의 지급의무를 면하지 못하고 채권자는 위반행위에 상응하는 배상금의 추심을 위한 강제집행을 할 수 있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혼인] 사실혼관계에 있던 당사자 일방이 사망한 후 사실혼관계 존부확인청구의 제척기간
|
[위자료] 재판상화해로 지급한 금액 중 일부로써 지급의무이행으로 보아 위자료청구기각한 사례
|
[사해행위] 사해행위취소소송에서 수익자의 선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
'민사집행 > 금전채권외의 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접강제] 부대체적 작위의무의 이행을 명하는 가처분결정에 대한 집행을 하는 경우, 그 기산점 (0) | 2014.05.19 |
---|---|
[간접강제] 청구이의의 소에서 부작위의무위반이 없었다는 주장을 이의사유로 내세울 수 있는지 (0) | 2014.04.23 |
[간접강제] 간접강제결정에서 명한 이행기간이 지난 후에 채무를 이행한 경우, 지연 배상금 집행 (1) | 201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