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간접강제] 간접강제결정에서 명한 이행기간이 지난 후에 채무를 이행한 경우, 지연 배상금 집행 청구 이의 [대법원 2013.2.14, 선고, 2012다26398, 판결] |
[판시사항]
민사집행법 제261조 제1항의 간접강제결정에 기한 배상금의 법적 성격 및 채무자가 간접강제결정에서 명한 이행기간이 지난 후에 채무를 이행한 경우, 채권자가 채무 이행이 지연된 기간에 상응하는 배상금의 추심을 위한 강제집행을 할 수 있는지 여부(원칙적 적극)
[판결요지]
민사집행법 제261조 제1항의 간접강제결정에 기한 배상금은 채무자에게 이행기간 이내에 이행을 하도록 하는 심리적 강제수단이라는 성격뿐만 아니라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에 대한 법정 제재금이라는 성격도 가진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채무자가 간접강제결정에서 명한 이행기간이 지난 후에 채무를 이행하였다면, 채권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채무의 이행이 지연된 기간에 상응하는 배상금의 추심을 위한 강제집행을 할 수 있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집행에 관한 이의] 집행취소서류의 제출에 의하여 집행처분을 취소하는 재판에 대한 불복 방법
|
[경매개시결정] 경매개시결정의 고지 없이 유효하게 경매절차를 속행할 수 있는지 여부
|
[집행정지] 강제집행정지결정정본을 집행기관에 제출하기 전 행해진 집행처분에 대한 효력여부
|
'민사집행 > 금전채권외의 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접강제] 부대체적 작위의무의 이행을 명하는 가처분결정에 대한 집행을 하는 경우, 그 기산점 (0) | 2014.05.19 |
---|---|
[간접강제] 청구이의의 소에서 부작위의무위반이 없었다는 주장을 이의사유로 내세울 수 있는지 (0) | 2014.04.23 |
[간접강제] 간접강제결정 후 의무위반행위가 있은 뒤 이를 중지하거나 금지기간이 경과한 경우 (0) | 201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