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재산명시] 재산관계명시결정에 소멸시효 중단사유인 (가)압류, 가처분에 준하는 효력 인정 여부 손해배상(자) [대법원 2001.5.29, 선고, 2000다32161, 판결] |
[판시사항]
재산관계명시결정에 민법 제168조 제2호 소정의 소멸시효 중단사유인 압류 또는 가압류, 가처분에 준하는 효력이 인정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재산관계명시절차는, 비록 그 신청에 있어서 집행력 있는 정본과 강제집행의 개시에 필요한 문서를 첨부하여야 하고 명시기일에 채무자의 출석의무가 부과되는 등 엄격한 절차가 요구되고, 그 내용에 있어서도 채무자의 책임재산을 탐지하여 강제집행을 용이하게 하고 재산상태의 공개를 꺼리는 채무자에 대하여는 채무의 자진이행을 하도록 하는 간접강제적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특정 목적물에 대한 구체적 집행행위 또는 보전처분의 실행을 내용으로 하는 압류 또는 가압류, 가처분과 달리 어디까지나 집행 목적물을 탐지하여 강제집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강제집행의 보조절차 내지 부수절차 또는 강제집행의 준비행위와 강제집행 사이의 중간적 단계의 절차에 불과하다고 볼 수밖에 없으므로, 민법 제168조 제2호 소정의 소멸시효 중단사유인 압류 또는 가압류, 가처분에 준하는 효력까지 인정될 수는 없고, 따라서 재산관계명시결정에 의한 소멸시효 중단의 효력은 그로부터 6월 내에 다시 소를 제기하거나 압류 또는 가압류, 가처분을 하는 등 민법 제174조에 규정된 절차를 속행하지 아니하는 한 상실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손해배상] 중개업자가 자기의 중개사무소를 타인의 중개행위의 장소로 제공하여 발생한 손해
|
[초상권침해] 방송동의 후 예정한 방법과 달리 방송된 경우, 제작사와 방송사의 위자료 지급책임
|
[전부명령항고] 회생절차폐지 후 재단채권의 전부명령 확정 전 새로 신청하여 절차 개시된 경우
|
'민사집행 > 재산명시/조회/채무불이행명부등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무불이행자명부] 제71조에서 ‘쉽게 강제집행할 수 있다고 인정할 만한 명백한 사유’의 의미 (0) | 2014.05.20 |
---|---|
[재산명시] 재산관계명시결정이 주채무자에 송달 후 재판상 청구등 시효중단조치하지 않은 사례 (0) | 2014.04.25 |
[재산명시] 재산관계명시신청에 대한 결정이 채무자에게 송달된 경우 “최고”로서 효력인정여부 (0) | 2014.04.25 |
[재산명시] 재산명시신청을 하고 그 결정이 채무자에게 송달된 경우, 소멸시효 중단의 효력 (0) | 2014.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