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친권양육] 이혼시 부모 중에서 미성년인 자의 친권자 및 양육자를 정할 때 고려하여야 할 요소 이혼 등 [대법원 2012.4.13, 선고, 2011므4719, 판결] |
[판시사항]
[1] 부모가 이혼하는 경우 부모 중에서 미성년인 자의 친권을 가지는 사람 및 양육자를 정할 때에 고려하여야 할 요소
[판결요지]
[1] 자의 양육을 포함한 친권은 부모의 권리이자 의무로서 미성년인 자의 복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부모가 이혼하는 경우에 부모 중에서 미성년인 자의 친권을 가지는 사람 및 양육자를 정함에 있어서는, 미성년인 자의 성별과 연령, 그에 대한 부모의 애정과 양육의사의 유무는 물론, 양육에 필요한 경제적 능력의 유무, 부 또는 모와 미성년인 자 사이의 친밀도, 미성년인 자의 의사 등의 모든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미성년인 자의 성장과 복지에 가장 도움이 되고 적합한 방향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이혼] 재일교포간 우리민법상 혼인유효하나 호적에 기재되지 않고 일본에서 이혼 합의한 경우
|
[청구이의] 지급명령 송달 후 수계절차를 밟지 않은 미확정 지급명령에 청구이의 소제기한 경우
|
[혼합공탁] 변제공탁사유와 집행공탁사유가 함께 발생한 경우, 채무자의 혼합공탁의 효력
|
'가사/행정 > 친생자/양자/친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육권] 양육자지정 및 양육비지급청구에서 사건본인이 원심판결 선고 후 사망한 경우 (0) | 2014.05.16 |
---|---|
[양육비] 지급청구권으로 성립하기 전의 과거 양육비에 관한 권리는 양육자의 재산권 해당 여부 (0) | 2014.05.16 |
[소멸시효] 협의, 법원심판 등 구체적 지급청구권으로 성립하기 전의 과거 양육비에 관한 권리 (0) | 2014.05.16 |
[친권양육] 수년간 별거 중 부가 양육한 여아에 대해 모를 친권,양육자로 정한 원심 파기한 사례 (0) | 2014.05.05 |
[친권양육] 이혼 후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서 친권과 양육권이 항상 동일인에 귀속되어야 하는지 (0) | 2014.05.04 |
[양친자관계] 당사자일방이 사망하여 검사를 상대로 허용한 양친자관계존부확인소의 출소기간 (2) | 2014.01.01 |
[양친자관계] 사망한 양부모와 양자간 양친자관계존재확인판결에 기한 가족관계등록부의 정정 (0) | 2013.12.20 |
[양친자관계] 양친자 중 일방이 사망한 경우 양친자관계존부확인소송의 피고적격(검사) (0) | 2013.12.19 |
[인지효력] 혼인신고가 위법한 무효인 혼인중 출생한 자를 그 호적에 출생신고하여 등재한 경우 (0) | 2013.12.18 |
[인지청구] 인지 없이 출생신고된 임의인지무효심판 기판력이 재판상 인지청구에 미치는지 (0) | 201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