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례:[양친자관계] 당사자일방이 사망하여 검사를 상대로 허용한 양친자관계존부확인소의 출소기간

양친자관계존재확인

[대법원 1993.7.16, 선고, 92므372, 판결]


 

[판시사항]

나. 양친자 중 일방이 사망한 경우 양친자관계존부확인소송의 피고적격

라. 위 "나"항의 경우의 출소기간



 

[판결요지]

라. 민법 제864조와 제865조 제2항은 인지청구의 소와 친생자관계존부확인의 소에 관하여 당사자 일방이 사망한 경우에 검사를 상대로 하여 소를 제기할 수 있음을 규정하면서 그 소제기는 사망사실을 안 날로부터 1년 내에 하여야 하는 것으로 출소기간을 정하고 있으므로, 양친자관계존재확인의 소에 있어 위 각법조의 유추적용에 의하여 검사를 상대로 하는 소제기를 허용하는 경우에도 그 각 법조가 정하는 출소기간의 적용을 받는 것으로 해석함이 타당하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무상임차인 인도명령] 무상임차인 확인서 작성 후 대항력 있는 임차인임을 주장하는 경우
  • ...채무자가 동생 소유의 아파트에 관하여 근저당권을 설정하고 대출을 받으면서 채권자에게 자신은 임차인이 아니고 위 아파트에 관하여 일체의 권리를 주장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확인서를 작성하여 준 경우, 그 후 대항력을 갖춘 임차인임을 내세워 이를 낙찰받은 채권자의 인도명령을 다투는 것은 금반언 및 신의칙에 위배되어 허용되지 않는다고 본 사례....

[담보취소] 담보취소신청사건관할(담보제공결정을 한 법원 또는 그 기록을 보관하고 있는 법원)
  • ... 수소법원인 서울남부지방법원 합의부가 신청인의 신청에 따라 경매절차의 정지를 명하면서 한 결정임을 알 수 있으므로, 앞서 본 법리에 따라 이 사건 담보취소결정도 수소법원으로서 담보제공결정을 한 서울남부지방법원 합의부에서 하였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도 원심은 수소법원이 아닌 서울남부지방법원 단독판사가 한 이 사건 담보취소결정이 옳다고 보아 재항고인의 항고를 ...

[이혼] 신분관계소송 중 상대방이 사망한 경우 검사를 상대방으로 하는 소송제도 입법취지
  • ...소송에 있어서는 재산상의 분쟁의 경우와는 달리 위법한 신분관계가 존속함에도 그 상대방이 될 자가 사망하였고 그 법률관계는 상속되지 않아 소송의 상대방이 될 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련된 다수 이해관계인들의 이익을 위하여 공익의 대표자인 검사를 소송의 상대방으로 하여 소송을 하는 방법으로 이를 바로잡는 방안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위법한 신분관계가 존재...

 

 

'가사/행정 > 친생자/양자/친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육비] 지급청구권으로 성립하기 전의 과거 양육비에 관한 권리는 양육자의 재산권 해당 여부  (0) 2014.05.16
[소멸시효] 협의, 법원심판 등 구체적 지급청구권으로 성립하기 전의 과거 양육비에 관한 권리  (0) 2014.05.16
[친권양육] 수년간 별거 중 부가 양육한 여아에 대해 모를 친권,양육자로 정한 원심 파기한 사례  (0) 2014.05.05
[친권양육] 이혼 후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서 친권과 양육권이 항상 동일인에 귀속되어야 하는지  (0) 2014.05.04
[친권양육] 이혼시 부모 중에서 미성년인 자의 친권자 및 양육자를 정할 때 고려하여야 할 요소  (0) 2014.05.04
[양친자관계] 사망한 양부모와 양자간 양친자관계존재확인판결에 기한 가족관계등록부의 정정  (0) 2013.12.20
[양친자관계] 양친자 중 일방이 사망한 경우 양친자관계존부확인소송의 피고적격(검사)  (0) 2013.12.19
[인지효력] 혼인신고가 위법한 무효인 혼인중 출생한 자를 그 호적에 출생신고하여 등재한 경우  (0) 2013.12.18
[인지청구] 인지 없이 출생신고된 임의인지무효심판 기판력이 재판상 인지청구에 미치는지  (0) 2013.12.18
[양친자관계] 민법이나 가사소송법등에 규정된 바가 없는 양친자관계존부확인소송의 허용 여부  (0) 2013.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