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집행문부여] 압류및추심명령후 채권승계한 경우 승계집행문없이 압류채권을 추심할 수 있는지 추심금 [대법원 2008.8.11, 선고, 2008다32310, 판결] |
[판시사항]
채권자가 집행권원에 기하여 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은 후 그 집행권원상의 채권을 양도하였으나 양수인이 기존 집행권원에 대하여 승계집행문을 부여받지 않은 경우, 집행채권자의 지위에서 압류채권을 추심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이유]
강제집행절차에 있어서는 권리관계의 공권적인 확정 및 그 신속·확실한 실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절차의 명확·안정을 중시하여야 하므로, 집행권원을 가진 채권자의 지위를 승계한 자라고 하더라도 기존 집행권원에 기하여 강제집행을 신청하려면 민사집행법 제31조 제1항( 같은 법 제57조의 규정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의하여 승계집행문을 부여받아야 하고, 집행권원에 의한 강제집행이 개시된 후 신청채권자의 지위를 승계한 경우라도 승계인이 자기를 위하여 강제집행 속행을 신청하기 위하여는 민사집행규칙 제23조가 정한 바와 같이 승계집행문이 붙은 집행권원의 정본을 제출하여야 하며 그 경우 법원사무관등 또는 집행관은 그 취지를 채무자에게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채권자가 집행권원에 기하여 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은 후 그 집행권원상의 채권을 양도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채권의 양수인이 기존 집행권원에 대하여 승계집행문을 부여받지 않았다면, 집행채권자의 지위에서 압류채권을 추심할 수 있는 권능이 있다고 볼 수 없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구상금청구제한] 보증채무부담 부정할 수 있었으나 그 주장을 하지 않고 보증채무이행한 경우
|
[집행이의] 배당중지(증명서류 미제출) 후 청구이의소 결과에 따라 추가배당절차를 밟는 경우
|
[강제집행] 소송비용부담의 재판만으로 소송비용상환청구채권의 집행권원이 될 수 있는지 여부
|
'민사집행 > 집행문/승계집행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행문부여] 채무자가 청구이의의 소의 이의 사유를 집행문 부여의 소에서 주장할 수 있는지 (0) | 2014.04.23 |
---|---|
[집행문부여] 집행력이 발생하지 않는 당연무효의 판결에 대해 집행문을 부여할 수 있는지 여부 (0) | 2014.04.22 |
[집행문부여이의] 전부명령 또는 추심명령이 발하여 진 경우 집행문부여에대한이의 소제기이익 (0) | 2013.12.23 |
[집행문부여] 채무명의상 가분채무가 다수에 공동상속된 경우 승계집행문부여방법 및 효력범위 (0) | 2013.12.20 |
[집행문부여이의] 기간내 상속포기로 승계적격이 없는 경우 승계집행정본의 효력 배제 방법 (0) | 2013.12.19 |
[집행개시요건] 강제집행 개시 전 채무자승계인에게 승계집행문을 송달해야한다고 규정한 취지 (0) | 2013.12.15 |
[집행문부여] 특별항고(승계집행문부여)사건에서 단순법률위반을 이유로 원심결정파기 여부 (0) | 2013.12.14 |
[집행문부여] 승계집행문 부여에 관한 ‘채무자의 승계인’에 ‘중첩적 채무인수인’도 포함되는지 (0) | 2013.12.14 |
[집행문부여이의] 집행문부여에 대한 이의신청 재판의 불복방법(=특별항고) 및 특별항고사유 (2) | 2013.12.13 |
[집행문부여] 집행문부여의 소에서 원고의 청구 범위 중 일부만 집행력의 존재가 인정되는 경우 (0) | 2013.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