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례:[집행문부여] 집행력이 발생하지 않는 당연무효의 판결에 대해 집행문을 부여할 수 있는지 여부

승계인에대한집행문부여

[대법원 2012.4.13, 선고, 2011다93087, 판결]


 

[판시사항]

[1] 집행력이 발생하지 않는 당연무효의 판결에 대하여 집행문을 부여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판결에 대하여 집행문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판결의 집행력이 유효하게 발생하고 존재할 것을 요건으로 한다. 따라서 집행력이 발생하지 않는 당연무효의 판결에 대하여는 집행문을 부여할 수 없고, 이러한 법리는 민사집행법 제33조에 의하여 집행문부여의 소를 제기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소송비용액확정] 소송비용부담재판이후 승계인에 승계집행문없이 소송비용액확정신청한 경우
  • ...1심법원으로부터 신청인 및 소외 2 합자회사(이하 ‘신청인 등’이라 한다)에 대하여는 일부 승소, 소외 3에 대하여는 패소의 판결을 선고받고 패소 부분에 대하여 항소한 점, 항소심은 2004. 4. 16. 광주고등법원 2003나8984호로 신청인 등에 대한 항소를 일부 받아들여 신청인 등에게 추가 금원의 지급을 명하는 한편 신청인 등에 대한 나머지 항소 및...

[가압류목적] 사립학교 교지·교사 등 사용을 위해 출연·편입한 부동산이 경영자 개인명의인 경우
  • ... 그것이 매매계약의 목적물이 될 수 없다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매매로 인한 소유권이전 가능성을 전부 배제하는 것이다. 그런데 같은 법 제51조는 사립학교 경영자에게도 학교법인에 관한 같은 법 제28조 제2항을 준용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사립학교 경영자가 사립학교의 교지·교사·체육장 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출연·편입시킨 토지나 건물이 학교경영자 개인...

[사해행위] 사해행위 당시 아직 성립 안 된 채권이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되기 위한 요건
  • ...으로 사해행위라고 볼 수 있는 행위가 행하여지기 전에 발생된 것을 요하지만, 그 사해행위 당시에 이미 채권 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가 발생되어 있고, 가까운 장래에 그 법률관계에 터 잡아 채권이 성립되리라는 점에 대한 고도의 개연성이 있으며, 실제로 가까운 장래에 그 개연성이 현실화되어 채권이 성립된 경우에는 그 채권도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될 수...

 

'민사집행 > 집행문/승계집행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행문부여] 채무자가 청구이의의 소의 이의 사유를 집행문 부여의 소에서 주장할 수 있는지  (0) 2014.04.23
[집행문부여이의] 전부명령 또는 추심명령이 발하여 진 경우 집행문부여에대한이의 소제기이익  (0) 2013.12.23
[집행문부여] 채무명의상 가분채무가 다수에 공동상속된 경우 승계집행문부여방법 및 효력범위  (0) 2013.12.20
[집행문부여이의] 기간내 상속포기로 승계적격이 없는 경우 승계집행정본의 효력 배제 방법  (0) 2013.12.19
[집행문부여] 압류및추심명령후 채권승계한 경우 승계집행문없이 압류채권을 추심할 수 있는지  (0) 2013.12.16
[집행개시요건] 강제집행 개시 전 채무자승계인에게 승계집행문을 송달해야한다고 규정한 취지  (0) 2013.12.15
[집행문부여] 특별항고(승계집행문부여)사건에서 단순법률위반을 이유로 원심결정파기 여부  (0) 2013.12.14
[집행문부여] 승계집행문 부여에 관한 ‘채무자의 승계인’에 ‘중첩적 채무인수인’도 포함되는지  (0) 2013.12.14
[집행문부여이의] 집행문부여에 대한 이의신청 재판의 불복방법(=특별항고) 및 특별항고사유  (2) 2013.12.13
[집행문부여] 집행문부여의 소에서 원고의 청구 범위 중 일부만 집행력의 존재가 인정되는 경우  (0) 2013.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