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례:[가처분이의] 가처분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이 채권자의 대위에 의하여 행사될 수 있는 권리인지

채권가압류이의

[대법원 1967.5.2, 선고, 67다267, 판결]


 

[판시사항]

가압류 결정에 대한 이의 신청과 채권자의 대위권 행사

 


 

[판결요지]

가. 채권가압류에 있어서 채무자가 제3채무자에 대한 채권이 없다면 가압류채무자는 채무가압류결정에 의하여 법률상 아무런 불이익을 받을 지위에 있다 할 수 없을 것이므로 가압류에 대한 이의를 신청할 이익이 없다 할 것이다.

나. 원래 가압류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은 가압류결정에 대한 소송법상의 불복방법에 불과하므로 채권자의 대위에 의하여 행사될 수 없는 권리라 할 것이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구상금] 연대보증 후 채권자와 채무자사이의 임의변제특약이 연대보증인에게 효력이 있는가
  • ...채권자와 채무자사이에 채무변제에 관하여 어떠한 특약을 하고 그러한 변제의 특약아래 채무를 연대보증한 경우에 채권자와 채무자는 연대보증인의 동의없이 특약을 변경할 수 없고 마음대로 특약을 변경하여도 연대보증인에게 효력이 없다....

[재산분할] 부부일방이 공동재산의 형성에 수반하여 부담한 채무가 재산분할시 청산 대상 여부
  • ...서 청산 대상이 되지 않으나, 공동재산의 형성에 수반하여 부담한 채무인 경우에는 청산 대상이 되는 것인바(당원 1993. 5. 25. 선고 92므501 판결 참조), 재산분할에 관한 처분은 가사비송사건으로서 그 절차에 관하여 비송사건절차법 제1편의 규정이 준용되어(가사소송법 제34조), 민사소송의 경우와는 달리 당사자의 변론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고 법원이...

[말소회복] 말소등기의 등기원인이 된 법률행위가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로서 취소된 경우
  • ...는 등기를 말하고, 부적법하게 말소된 등기에는 말소등기의 등기원인의 무효나 취소 등과 같은 실체적 이유에 기한 것도 포함되므로(대법원 1990. 6. 26. 선고 89다카5673 판결, 대법원 1993. 3. 9. 선고 92다39877 판결 등 참조), 말소등기의 등기원인이 된 법률행위가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로서 취소된 경우도 말소회복등기의 대상인 부적법하...

 

'민사집행 > 가처분이의/취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처분] 보전명령 이의 및 취소신청 사건에서 법률개정 시행 전후 법정기간에 관해 적용할 법률  (0) 2014.05.20
[가처분취소] 신탁 해지 후 위탁자 등이 수탁자에 한 가처분에 대해 사정변경으로 취소신청 가부  (0) 2014.05.20
[가처분취소] 가처분의 목적이 되는 부동산 전득자의 사정변경에 의한 가처분 명령 취소 신청권  (0) 2014.05.20
[가처분취소] 가처분목적물의 양수인의 사정변경으로 인한 가처분 취소를 구할 신청인적격 여부  (0) 2014.05.20
[가처분취소] 피보전권리가 없이 가처분된 후, 양수인의 사정변경으로 인한 가처분취소신청가부  (0) 2014.05.20
[피보전권리] 토지거래계약 허가구역 내의 토지에 관한 매매계약의 경우,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0) 2014.05.19
[가처분취소] 가처분결정에 대한 본안제소명령의 신청권이 채권자대위권의 목적이 될 수 있는지  (0) 2014.04.22
[사정변경] 점유회수본소와 (소유권)인도청구반소가 모두 인용확정된 경우, 점유이전금지가처분  (0) 2014.02.18
[가처분목적] 가처분결정이 정한 직무집행정지 기간 경과된 후 그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 여부  (0) 2014.02.16
[가처분취소] 가처분채권자가 본안승소 후 본집행할 수 있음에도 장기간 집행을 않고 있는 경우  (0) 2013.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