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례:[가처분취소] 가처분목적물의 양수인의 사정변경으로 인한 가처분 취소를 구할 신청인적격 여부

가처분취소

[대법원 2006.9.22, 선고, 2004다50235, 판결]


 

[판시사항]

[1] 가처분 목적물의 양수인이 사정변경으로 인한 가처분결정의 취소를 구할 신청인적격이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가처분이 집행된 후에 그 가처분 목적물을 양수한 사람은 사정변경으로 인한 가처분결정의 취소 신청을 할 수 있는 신청인적격이 있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항소허부] 가분채권의 일부 청구로 전부 승소한 채권자가 남은 잔부 청구확장을 위한 항소가부
  • ... 청구하는 것이라는 취지를 명시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나머지 부분에까지 미치는 것이어서 별소로써 나머지 부분에 관하여 다시 청구할 수는 없으므로, 일부 청구에 관하여 전부 승소한 채권자는 나머지 부분에 관하여 청구를 확장하기 위한 항소가 허용되지 아니한다면 나머지 부분을 소구할 기회를 상실하는 불이익을 입게 되고,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정부보조금] 정치자금법 근거하여 국가가 정당에 지급하는 금전,유가증권이 압류금지채권 여부
  • ...치자금법에서 열거하고 있는 용도 외에 정당보조금을 사용할 수 없고(정치자금법 제28조 제1항), 이를 위반한 경우 형사처벌의 대상이 된다(정치자금법 제47조 제1항 제4호). 위와 같은 정당보조금의 목적, 용도 외 사용의 금지 및 위반시의 제재조치 등 그 근거 법령의 취지와 규정 등에 비추어 볼 때, 정당보조금은 국가와 정당 사이에서만 수수·결제되어야 하는...

[시효중단] 권리자가 응소하여 적극적인 권리주장하였으나 소각하되거나 취하되어 종료된 경우
  • ...8조 제1호, 제170조 제1항에서 시효중단사유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는 재판상의 청구란, 통상적으로는 권리자가 원고로서 시효를 주장하는 자를 피고로 하여 소송물인 권리를 소의 형식으로 주장하는 경우를 가리키나, 이와 반대로 시효를 주장하는 자가 원고가 되어 소를 제기한 데 대하여 피고로서 응소하여 소송에서 적극적으로 권리를 주장하고 그것이 받아들여진 경우도...

 

'민사집행 > 가처분이의/취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소기간] 개정시행전 가처분신청하여 개정시행후 이를 인용하는 결정이 채무자에 송달된 사례  (0) 2014.05.20
[가처분] 보전명령 이의 및 취소신청 사건에서 법률개정 시행 전후 법정기간에 관해 적용할 법률  (0) 2014.05.20
[가처분취소] 신탁 해지 후 위탁자 등이 수탁자에 한 가처분에 대해 사정변경으로 취소신청 가부  (0) 2014.05.20
[가처분취소] 가처분의 목적이 되는 부동산 전득자의 사정변경에 의한 가처분 명령 취소 신청권  (0) 2014.05.20
[가처분취소] 피보전권리가 없이 가처분된 후, 양수인의 사정변경으로 인한 가처분취소신청가부  (0) 2014.05.20
[피보전권리] 토지거래계약 허가구역 내의 토지에 관한 매매계약의 경우,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0) 2014.05.19
[가처분이의] 가처분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이 채권자의 대위에 의하여 행사될 수 있는 권리인지  (0) 2014.04.22
[가처분취소] 가처분결정에 대한 본안제소명령의 신청권이 채권자대위권의 목적이 될 수 있는지  (0) 2014.04.22
[사정변경] 점유회수본소와 (소유권)인도청구반소가 모두 인용확정된 경우, 점유이전금지가처분  (0) 2014.02.18
[가처분목적] 가처분결정이 정한 직무집행정지 기간 경과된 후 그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 여부  (0) 2014.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