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례:[제소기간] 개정시행전 가처분신청하여 개정시행후 이를 인용하는 결정이 채무자에 송달된 사례 공사 중지 가처분 취소 [대법원 2012.1.27, 자, 2010마1987, 결정] |
[판시사항]
[2] 2005. 1. 27. 법률 제7358호로 개정된 민사집행법이 시행되기 전 공사중지 가처분신청이 이루어졌고, 개정 민사집행법이 시행된 후 이를 인용하는 가처분결정이 발령되어 채무자에게 송달되었는데, 그 후 채무자가 본안소송의 제소기간 경과를 이유로 가처분취소를 구한 사안에서, 개정 민사집행법 제288조 제1항 제3호에서 정한 3년의 제소기간 내에 본안의 소가 제기되지 않았으므로, 가처분결정은 취소되어야 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2] 2005. 1. 27. 법률 제7358호로 개정된 민사집행법(이하 ‘개정 민사집행법’이라 한다)이 시행되기 전 공사중지 가처분신청이 이루어졌고, 개정 민사집행법이 시행된 후 이를 인용하는 가처분결정이 발령되어 채무자에게 송달되었는데, 그 후 채무자가 본안소송의 제소기간 경과를 이유로 가처분취소를 구한 사안에서, 위 가처분결정은 부작위를 명하는 것으로서 채무자에게 결정 내용이 고지됨으로써 효력이 발생하고, 달리 채무자가 가처분결정 무렵 부작위의무에 위반되는 행위를 계속하고 있었다고 볼 만한 사정이 없는 한 효력발생 시점에 실질적으로 집행된 것과 동일한 상태에 이르렀다고 할 것이어서 그때부터 본안소송의 제소기간이 진행된다고 보아야 하므로, 개정 민사소송법이 시행된 후 본안소송의 제소기간이 진행되기 시작한 위 가처분사건에 관하여는 개정 민사집행법 제288조 제1항 제3호에서 정한 3년의 제소기간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그 기간 내에 본안의 소가 제기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가처분결정은 취소되어야 한다고 한 사례.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특별항고] 집행이의신청재판이 즉시항고의 대상(제17조제1항)이 되지 않는 경우 그 불복방법
|
[말소회복] 부동산등기법제59조(말소등기의 회복)에 정한 ‘등기상 이해관계 있는 제3자’의 의미
|
[집행비용] 임원 등의 직무대행자를 선임하는 가처분의 경우,예납금에서 지급된 직무대행자보수
|
'민사집행 > 가처분이의/취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처분] 보전명령 이의 및 취소신청 사건에서 법률개정 시행 전후 법정기간에 관해 적용할 법률 (0) | 2014.05.20 |
---|---|
[가처분취소] 신탁 해지 후 위탁자 등이 수탁자에 한 가처분에 대해 사정변경으로 취소신청 가부 (0) | 2014.05.20 |
[가처분취소] 가처분의 목적이 되는 부동산 전득자의 사정변경에 의한 가처분 명령 취소 신청권 (0) | 2014.05.20 |
[가처분취소] 가처분목적물의 양수인의 사정변경으로 인한 가처분 취소를 구할 신청인적격 여부 (0) | 2014.05.20 |
[가처분취소] 피보전권리가 없이 가처분된 후, 양수인의 사정변경으로 인한 가처분취소신청가부 (0) | 2014.05.20 |
[피보전권리] 토지거래계약 허가구역 내의 토지에 관한 매매계약의 경우,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0) | 2014.05.19 |
[가처분이의] 가처분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이 채권자의 대위에 의하여 행사될 수 있는 권리인지 (0) | 2014.04.22 |
[가처분취소] 가처분결정에 대한 본안제소명령의 신청권이 채권자대위권의 목적이 될 수 있는지 (0) | 2014.04.22 |
[사정변경] 점유회수본소와 (소유권)인도청구반소가 모두 인용확정된 경우, 점유이전금지가처분 (0) | 2014.02.18 |
[가처분목적] 가처분결정이 정한 직무집행정지 기간 경과된 후 그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 여부 (0) | 201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