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례:[배상책임]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에 기한 보험자의 배상책임의 내용과 범위

손해배상(자)

[대법원 2013.10.11, 선고, 2013다42755, 판결]


 

[판시사항]

[1]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에 기한 보험자의 배상책임의 내용과 범위



 

[판결요지]

[1]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에 기한 보험자의 배상책임은 사고와 상당인과관계 있는 법률상 손해 일체를 내용으로 하는 것으로서, 사망사고의 경우 배상의 대상이 되는 손해에는 치료비 등 적극적 손해, 일실 수입 등 소극적 손해 및 정신적 손해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출처 :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가압류취소] 제소명령 송달에 관하여 적용되는 규정에 따른 송달장소 및 송달방법
  • ...명령의 송달에 관해서는 민사집행법 제14조가 적용될 여지가 없다. [2] 당사자가 송달받을 장소를 바꿀 때에는 바로 그 취지를 법원에 신고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신고를 하지 아니하여 달리 송달할 장소를 알 수 없는 경우, 민사소송법 제185조는 종전에 송달받던 장소에 대법원규칙이 정하는 방법으로 발송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이므로, 비록 당사자가 ...

[혼인] 우리 나라 사람들이 혼인 거행지인 일본국의 호적법에 따른 혼인신고한 경우의 혼인효력
  • ...우리 나라 사람들 사이의 외국에서의 혼인에 있어서 민법 제812조와 호적법에 의한 본적지에서의 신고나 제814조의 공관장에의 신고에 의한 방법 외에 거행지법에 의한 혼인도 유효하게 성립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고, 거행지법인 일본국 민법에 의하면 혼인은 동 국의 호적법에 의하여 신고함으로써 성립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므로 일본국법에 따른 혼인신고를 마쳤다면 혼인...

[시효중단] 본안의 승소판결이 확정된 경우,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소멸되는지 여부
  • ...[2] 민법 제168조에서 가압류와 재판상의 청구를 별도의 시효중단사유로 규정하고 있는데 비추어 보면, 가압류의 피보전채권에 관하여 본안의 승소판결이 확정되었다고 하더라도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이에 흡수되어 소멸된다고 할 수 없다....

 

'보험 > 자동차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멸시효] 피해자가 보험회사에 대하여 가지는 자동차손해배상책임보험금청구권 소멸시효기간  (0) 2014.05.19
[보험구상금] 음주운전 등 사고시 자기부담 조항에서 ‘피보험자’가 기명피보험자에 한정되는지  (0) 2014.03.15
[가불금지급] 보험회사 등이 피해자에게 지급하는 가불금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가불금효력범위)  (0) 2014.03.15
[책임보험금] 피해자가 교통사고에 자신의 과실유무,다과에 관계없이 책임보험금 청구 가능한지  (0) 2014.03.12
[자동차양도] 피보험자동차의 양도에 관한 통지의무를 규정한 보험약관 조항의 의무대상여부  (0) 2014.03.09
[자동차손해] 교통사고만의 담보특약부 상해보험계약에 적용되는 약관상 "운행"의 의미  (0) 2014.02.16
[자동차손해] 잔디밭에 주차한 뒤 잠을 자다가 자동차가 미끄러져 내려가 물에 빠진 사고의 경우  (0) 2014.02.09
[자동차손해] 지면과 적재함 사이에 걸친 각목발판의 사용으로 땅에 떨어져 입은 상해의 경우  (0) 2014.02.04
[자동차손해] 버스장치일체의 용법에 따른 사용(운행)으로 화재발생 간접적 원인을 인정한 사례  (0) 2014.02.03
[교통사고 합의] 합의할 당시 후유장애발생을 예견할 수 있었는지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가능성  (0) 2013.12.02